-
LGD, 中 LED패키징 합작법인 지분참여
LG디스플레이가 중국에 LED 패키징 제조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권영수)는 지난 4일 세계최대규모 LED 패키징 제조업체인 대만의 에버라이트 일렉트로닉스社 및 LCD TV 위탁제조 전문업체 암트란 테크놀러지社 등과 함께 중국 쑤저우에 백라이트용 LED 패키징 제조 합작법인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번 합작법인에는 에버라이트가 60%, LG디스플레이 및 암트란이 각각 20% 출자하며, 총 3,000만달러 규모가 투자된다.
올해 말부터 가동을 시작할 합작법인을 통해 LG디스플레이는 LCD 핵심부품 업체와 보다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하게 됐다. 또한 부품의 설계와 개발에 있어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차별화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안정적인 LED 부품 공급처를 추가적으로 확보, LED백라이트 LCD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LED 패키징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에버라이트 또한 급격하게 확대되는 LED 백라이트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하고 LED 패키징 기술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LED 백라이트 LCD 시장의 성장에 대비해 LG이노텍 및 국내외 LED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오고 있다. 또한 LED 백라이트의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지난해에는 국내 LED 패키징 업체인 우리LED社의 지분에 투자한 바 있다.
박진형 기자
2010-06-08
-
우리LED, 中 양저우시와 LED 패키징 투자계약
우리이티아이(대표 윤철주 권경환 www.wooree.co.kr)의 자회사인 LED 패키지 전문기업 우리LED(대표 윤철주, 이학동)가 중국 장쑤성 양저우시와 LED 패키징 생산 시설 투자계약을 체결하며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우리LED 윤철주 회장을 비롯한 관계사 대표와 양저우시 왕옌원 당서기 외 개발구대표단 등 총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7일 르네상스 서울 호텔에서 투자계약 체결식이 열렸다. 이번 계약을 통해 우리LED는 총 투자금액 1억 불 규모의 LED 패키징 생산라인을 양저우 현지에 설립, 국내 안산 본사와 함께 생산기지를 이원화하며 급변하는 LED 수급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우리LED는 올 연말까지 월 2억 개 정도의 양산체제를 국내에 구축하는 데 이어, 향후 양저우에서 월 3억 개 생산라인을 추가하며 2012년까지 LED 패키지 월 5억개 생산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 초 우리이티아이가 같은 양저우 지역 ‘찬양 프로젝트’에 지분을 참여하며 LED 칩 수급에 만반의 준비를 한데 이어, 패키징의 안정적 공급처까지 확보함에 따라 앞으로 우리조명그룹은 수직계열화 시너지를 극대화하며 LED제품 기술력 및 라인업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목표다. 현재 디스플레이용 LED 광원 공급이 상반기 모니터에서 하반기 TV까지 영역이 급속히 확대되고 계열사인 우리조명의 LED 조명브랜드인 ‘컬러원’의 해외 매출 성과가 두각을 나타내며 패키징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 우리LED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의 3배 규모인 1,500억 원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우리LED 윤철주 회장은 “향후 LED 시장의 성패는 TV·조명 등 급증하는 시장의 요구에 누가 원활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경쟁력을 갖추는가에 달렸다.”라며 “LED칩과 패키징 해외 생산라인 확보를 시작으로 국내 LED 수직계열화 성과를 중국시장까지 확대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양저우시는 투자계약 체결식에서 이번 우리LED 생산라인 구축에 토지·건물·세금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보조금 지급을 통해 우리LED가 초기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재 양저우 지역은 중국정부의 전력 IT 및 대체에너지 육성정책시행에 발맞춰 관련 연구개발 및 생산 시설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중국·대만의 ‘3국 동맹 LED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LED 생산 거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박진형 기자
2010-06-07
-
와이즈파워, 日에 LED집어등 343대 공급
박진형 기자
2010-06-03
-
주요 24개 LED 기업 1Q 실적
올해 초 출시된 LED TV로 LED 관련 기업들은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또한 TV 생산업체들이 LED TV로의 생산 확대로 LED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지난 1분기 주요 24개 LED 기업들의 매출을 분석해 본 결과, 총 당기순이익은 무려 전년동기대비 2,320.5% 증가했다. 총 매출액은 2조6,217억원으로 전년 1조8,948억원보다 38.4%, 총 영업이익은 전년 293억원에서 466.7% 증가한 1,664억원을 달성했다.
업계 매출 선두인 삼성전기는 지난 1분기 1조6,236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대비 43.4%의 증가율을 나타냈고 영업이익은 1,191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62억원보다 1,821%의 신장세를 보였다. 당기순이익도 1,234억원을 올려 지난해 1분기 73억원 적자에서 흑자전환했다.
LG이노텍은 지난 1분기에 42억원의 매출, 1억원의 영업이익, 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올해도 가파른 성장을 지속해 1분기에는 전년 동기보다 각각 81.1%, 231.3%, 128.8% 증가한 77억원의 매출, 4억원의 영업이익, 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매출 812억원, 영업이익 28억원, 당기순이익 21억원을 기록한 서울반도체는 올해 1분기 각각 53.2%, 355.6%, 480.9%씩 증가해 매출 1,244억원, 영업이익 131억원, 당기순이익 12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31억원의 매출을 올린 루미마이크로는 올해 1분기에 61억원의 매출을 올려 94.1%의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1분기 13억 적자, 28억 적자를 보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올 1분기에도 적자지속을 이어갔지만 그 폭을 줄여 7억원의 영업손실, 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한솔LCD는 지난해 1분기 매출 2,482억원에서 올해 1분기 2,793억원으로 12.5%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이번 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18억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29억으로, 당기순이익도 지난해 1분기 25억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70억원을 기록했다.
한국단자공업은 지난해 1분기 매출 412억원에서 올해 1분기 852억원의 매출을 올려 106.6%의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8억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76억원으로 흑자전환했고, 당기순익도 지난해 1분기 1억원에서 올해 1분기 76억원으로 4.632.9%의 증가했다.
금호전기는 지난해 1분기 매출 619억원에서 올해 1분기 683억원으로 10.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동일하게 40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37억원에서 31억원으로 17.6% 감소했다.
우리ETI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매출 637억원보다 9.4%감소한 58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1분기 75억원에서 39억원으로 47.2%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1분기 68억원과 동일한 68억원을 올해 1분기에 달성했다.
루멘스는 지난해 1분기 155억원 매출과 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올해 1분기에는 각각 225.3%, 1732.3% 증가한 505억원의 매출과 4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지난해 1분기 3억원 적자이던 당기순이익은 올해 1분기에는 27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광전자는 올해 1분기 매출 416억원, 영업이익 27억원으로 전년동기 매출 294억원, 영업이익 19억원보다 각각 41.3%, 42.1% 성장했다. 그리고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1분기 7억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20억원 흑자로 흑자전환했다.
유양디앤유는 지난해 1분기 312억원의 매출이 올해 1분기 406억원으로 30.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 15억원, 16억원에서 올해 각각 4억원 영업손실, 6억원 당기순손실로 적자전환했다.
한성엘컴텍은 올해 1분기 매출이 37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매출 437억원보다 13.5% 감소했고 지난해 1분기 23억의 영업이익과 10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모두 적자전환 돼 영업손실 25억원, 당기순손실 32억원을 기록했다.
알에프텍은 지난해 1분기 매출 285억원과 영업이익 20억원익을 달성했으나, 올해 1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 47.5% 감소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1분기 11억원에서 올해 1분기 72.8% 증가한 20억원을 기록했다.
에피밸리는 올해 1분기 232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 181억원에서 2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영업손실 21억원, 당기순손실 30억원으로 적자지속을 면치 못했다.
대진디엠피는 지난해 1분기 189억원의 매출과 38억원의 영업이익, 5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12.8% 증가한 213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7.2%, 59.6% 감소해 각각 20억원씩을 달성했다.
오디텍은 지난해 1분기에 68억원의 매출과 14억원의 영업이익, 1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그리고 올해 1분기에는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193.7%, 230.6%, 179.5% 증가한 201억원의 매출, 46억원의 영업이익, 3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세코닉스는 올해 1분기 201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 97억원에서 106.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8억원에서 14억원으로, 당기순이익은 1억원에서 22억원으로 각각 67.7%, 1,71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산업은 올해 1분기에 지난해 1분기 86억원보다 102.9% 증가한 17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1분기에 6억원 적자이던 영업이익이 올해 12억원의 영업이익으로 흑자전환 했으나 지난해 1분기 2억원이던 당기순이익이 올 1분기에는 52.1% 감소한 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37억원의 매출을 올린 프로텍은 올해 1분기에 147억원의 매출을 올려 289.8%의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해 1분기 1,700만원이던 것이 올해에는 1만5,528.8% 증가한 26억원을 기록했고 1억원이던 당기순이익도 올해 19억원을 달성해 1,747%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화우테크놀러지의 1분기 매출은 지난해 1분기 135억원보다 1.4% 증가한 137억원을 달성했다. 그러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를 지속해 각각 6억원의 영업손실과 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지난해 1분기에 비해 적자 폭이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 85억원의 매출, 1억원의 영업이익, 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린 엔하이테크는 올해 1분기에 135억원의 매출, 3억원의 영업이익, 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각각 57.5%, 170.2%, 107.2%의 증가세를 보였다.
와이즈파워는 지난해 1분기에 142억원의 매출, 18억원의 영업이익, 2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각각 11.4%, 93.6%, 74.8% 감소한 125억원의 매출, 1억원의 영업이익, 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일진디스플레이는 지난해 1분기 49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9억원의 영업손실, 1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이 118억원으로 141.1% 증가했고, 영업이익 5억원, 당기순이익 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씨티엘은 지난해 1분기 24억원의 매출에서 올 1분기 43억 매출로 81.2%의 증가세를 보였고, 3,900만원이던 영어이익은 7억원의 영업이익으로 1,749.6%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 6,700만원 당기순손실은 흑자전환 돼 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박진형 기자
2010-06-03
-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 시장 한국 독주”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지난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상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세계시장을 제패했다.
시장조사기관 유비산업리서치가 발간한 ‘2010 OLED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OLED 업체들은 2009년 5억3,360만달러의 매출을 달성해 세계시장의 71.3%로 1위를 차지했다.
매출은 전년(2억5,338만달러)보다 두배 이상 늘어났으며 점유율은 전년(52.2%)보다 20%포인트 정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
이에 비해 일본은 13.6%로 2위, 대만은 12.6%로 3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의 이러한 독주는 디스플레이 강국으로서 성숙된 패널 제조 기반기술과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우수특허 획득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OLED는 기존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백라이트가 필요 없고 고화질, 슬림화, 저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동작속도가 빨라 “꿈의 디스플레이로” 주목받아 왔다.
OLED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PM:Passive Matrix) OLED와 능동형(AM:Active Matrix) OLED로 구분되는데, 최근 AM OLED 기술을 채용한 보는 휴대폰(아몰레드), 스마트폰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면서 OLED 기술은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기술이 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OLED 관련 특허출원은 1992~1996년도에 10건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2008년까지 총1,822건이 출원, 그 동안 특허활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내외국인 출원비율을 살펴보면, 내국인이 65.8%, 일본 23.3%, 미국 8.1%, 나머지 2.8%는 유럽국가들 및 아시아권 국가들이 차지하고 있어 내국인 출원이 외국인 출원을 월등히 앞서고 있다.
다출원인으로는 삼성SDI(584건), LG디스플레이(221건), 세이코 엡슨(78건), 코닥(5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기업들이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인 OLED에 대한 기술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온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특허청 관계자에 따르면 "OLED 기술은 기존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응답속도가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3D 화면구현시 어지럼증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며 또한 "유기물을 사용하는 OLED를 적용하면 종이처럼 말아 간편하게 휴대가능한 플렉서블(휘는) 디스플레이 등 미래 적용분야가 다양하며 LCD에 비해 유해물질을 덜 사용해 친환경적인 AM OLED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녹색성장과도 그 궤를 같이 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또한 특허청이 2009년 발간한 ‘OLED 분야 특허 길라잡이’ 책자를 통해 OLED 분야 지재권 포트폴리오와 이를 구현할 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지식재산권 창출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허청은 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 공동으로 특허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2010년 5월 중순에 개최해해 OLED 분야 특허동향 및 특허청 지재권 지원 프로그램 소개 강연과 함께 ‘OLED 분야 특허 길라잡이’ 책자를 배포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분야 중소기업들에게도 지재권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진형 기자
2010-06-02
-
삼성전자, LED 모니터 신제품 출시
박진형 기자
2010-06-01
-
광기술원 논문, SCI 학술지 등재
한국광기술원(원장 유은영)은 교육과학기술부 일반연구자지원사업(2009~2011)을 수행 중에 소멸전계를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임계각 근처의 사이각으로 구성된 초소형 삼각형 링 공진기를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서 구현된 연구 내용이 IET Electronics Letters에 월간 최우수논문(Featured Letter)으로 선정되었다고 1일 밝혔다.일반적으로 임계각 근처의 사이각으로 이뤄진 광도파로는 광손실이 커서 광소자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광기술원 광융합시스템 연구센터 김두근 박사는 최우수논문 선정 의의에 대해 “이번 연구를 통해서 반도체 미러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각공정을 확보했다”라며 “이 공정 기술을 삼각형 링 공진기에 적용해 초소형 삼각형 링 공진기를 구현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삼각형 링 공진기의 내부에 있는 사이각으로 이뤄진 미러에 외부 입력을 통해서 링 공진기의 공진 특성을 바꿀 수 있어서 광아이솔레이터나 스위치로 응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한 “미러에서 유도되는 큰 소멸 전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고감도 센서로도 응용될 수 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한편, IET Electronics Letters는 미국과학정보연구소(ISI)가 엄선한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에 수록된 세계 전기전자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다.
박진형 기자
2010-06-01
-
‘지능형전력망 구축 및 이용 촉진법(안)’ 공개
신근순 기자
2010-05-31
-
ETRI 기술지주회사 ‘출범’
박진형 기자
2010-05-31
-
하이닉스, 올해 투자계획 확대
박진형 기자
2010-05-31
-
에피밸리, LED 로열티 225만불
발광다이오드(LED) 에피웨이퍼 및 칩 전문업체인 에피밸리(대표 장훈철)는 자사의 LED 기술을 사용하는 대가로 중국 일렉테크(Elec-Tech)로부터 로열티 225만달러를 수령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에피밸리는 이번에 수령한 해외 로열티가 국내 LED 에피웨이퍼 및 칩 기술력을 해외로부터 인정받아 지급받는 최초의 사례라고 밝히며, 현재 공장설립 중인 중국 LED 합작법인에 대한 판매실적의 최대 10%를 받게 되는 로열티의 일부분이라고 밝혔다.
이 자금은 에피밸리의 LED 연구개발 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중국 LED 합작법인의 기술사용은 에피밸리의 LED 기술력을 이용한 제품생산에만 국한돼, 특허권 등 에피밸리의 LED 보유기술에 대한 소유권 이전은 일체 없다고 에피밸리는 밝혔다.
에피밸리 관계자는 “올해 12월부터 중국 LED 공장의 1차 생산라인 양산이 개시될 예정으로 내년부터 최소한 연간 50억원, 전체 라인증설이 완료되는 2013년 이후에는 로열티로만 연간 80억원 이상의 수익이 추가적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에피밸리는 지난 5월13일 중국 LED시장 진출을 위해 홍콩에 중국투자를 위한 조인트벤처 ‘3E SEMICONDUCTOR’의 설립을 완료하는 등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중국 LED 프로젝트’의 진행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진형 기자
2010-05-30
-
LS전선 구자열 회장, 베트남 ‘명예영사’
신근순 기자
2010-05-28
-
전기산업진흥회, 스마트그리드협회와 MOU
박진형 기자
2010-05-28
-
서울반도체, 아세안 LED시장 공략 발판 마련
세계적인 LED 기업 서울반도체(주)(대표 이정훈, www.seoulsemicon.com)는 싱가폴에 위치한 전자분야의 영업 종합 솔루션 기업 엑셀포인트社와 초소형 고효율 LED제품부터 세계 최초 AC용 LED인 아크리치까지 서울반도체 관련 제품에 대한 영업권 협약을 맺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엑셀포인트는 아세안 지역인 중국과 인도의 서울반도체 판매 영업권에 대한 공식적인 권리를 갖게 되며 서울반도체 아세안 시장공략의 주요 셀링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서울반도체 영업본부 이상민 부사장은 “엑셀포인트의 경쟁력 있는 입지조건과 탄탄한 사업기초, 전문적인 조명 디자인과 친환경 시스템이 인상 깊었다”라며 “특히 LED 조명에 관한 에코 시스템은 엑셀포인트의 향후 계획과 관련한 판매권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한 주요 고려사항 중에 하나”라고 밝혔다.
엑셀포인트의 CEO인 알버트 푸웨이(Albert Phuay)는 이번 협약에 대해 “서울반도체의 기술력과 시장에서의 위상, 아크리치(AC LED)를 포함한 서울반도체가 거느린 우수한 제품군은 엑셀포인트의 향후 조명용 반도체광원을 통한 조명사업 청사진에 완벽하게 부합한다”라며 “성공적인 보급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반도체는 자사의 LED 제품이 엑셀포인트의 안정적이고 시의 적절한 공급망을 통해 아세안 시장의 휴대폰과 TV BLU 등의 전자제품 도입량이 증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양사는 이번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LED조명 사업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경쟁력 및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진형 기자
2010-05-28
-
화우테크놀러지, 美 잇따른 수출계약
박진형 기자
2010-05-25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8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