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LG, 세계 전기車 배터리 특허 주도
신근순 기자
2015-01-12
-
ST, 車 라디오 튜너 IC ‘STAR’ 출시
다양한 전자 애플리케이션에 걸쳐 고객들에게 기여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이자 자동차 라디오 및 인포테인먼트 IC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지사장 마르코 카시스)가 새로운 STAR(ST Advanced Radio) IC 튜너 제품군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STAR-T(TDA7707, 듀얼 채널)과 STAR-S(TDA7708, 싱글 채널) 칩은 자동차 라디오 제품에서 호환 가능한 지상파 라디오 리시버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번 ST 자동차 라디오 튜너는 모든 자동차 라디오 영역을 커버하고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 개발로 지리적 제한을 뛰어 넘을 수 있다.
STAR 제품군으로 한 개의 PCB 레이아웃을 활용해 단순한 AM/FM과 같은 채널에서 다중 튜너, 다중 표준(DAB/HD-Radio™/DRM 가능) 아키텍처에 이르는 모든 유형의 자동차 라디오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TDA7707은 모노리딕 듀얼채널 쿼드밴드 튜너 IC로, FM 위상 다이버시티(FM Phase Diversity), FM + 백그라운드 FM/AM, FM/AM + 백그라운드 RDS/TMC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의 라디오 리시버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외부 프로세서와 연결시 HD-Radio™와 DAB 같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 표준까지도 처리가 가능하다.
TDA7708은 이 플랫폼의 싱글채널 제품으로, 듀얼채널 시스템의 TDA7707에서 별도의 변경없이 하드웨어(핀투핀) 및 소프트웨어 호환으로 싱글채널 시스템 제품 구성이 가능하다.
두 제품 모두 컴팩트한 QFN64(9mm x 9mm x 0.85mm) 패키지로 제공되며 DSP 인텐시브 라디오 신호 처리 성능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부품 사용을 최소화했고 외부 디지털 라디오 디코더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ST는 평가 키트 및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 기술지원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현재 샘플 제공이 가능하며 2016년에 양산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ST 한국 지사(채의돈 차장, 02-3489-0114)에 문의가 가능하다.
김은경 기자
2015-01-12
-
삼성SDI, 車 소재·부품 들고 美 공략 가속화
김은경 기자
2015-01-12
-
[2014년 3Q 경영실적]반도체 재료 17社
김은경 기자
2015-01-09
-
도시바, ‘CES 2015’ 싱글 패키지 SSD 전시
강지혜 기자
2015-01-08
-
차부품협·NSF, 부품 인증 프로그램 ‘맞손’
김은경 기자
2015-01-08
-
형광 단백질센서 ‘봉우리’ 개발
김은경 기자
2015-01-08
-
한국타이어, ‘24시 시리즈’ 공식 타이어 선정
김은경 기자
2015-01-08
-
ETRI, 100km밖 바다 문자 가능
김은경 기자
2015-01-08
-
車 대체부품인증제 8일 시행
자동차 수리 시 OEM 부품(일명 순정품)이 아닌 저렴하고 품질 높은 대체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대체부품인증제도’가 오는 8일부터 시행된다.
‘대체부품’은 자동차제조사가 출고한 자동차에 장착된 OEM부품(일명 순정품)과 성능과 품질이 동일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부품을 말한다.
‘대체부품인증제도’는 자동차부품 제조사에서 제작된 대체부품을 정부가 인증한 기관에서 성능·품질을 심사해 기준 만족 시 인증함으로써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며, 대체부품인증기관으로는 지난 12월26일 한국자동차부품협회(회장 김석원)가 지정됐다.
차부품협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은 낮으면서도 사고 시 파손빈도 및 수리비가 높은 범퍼, 휀더, 도어 등 외장부품과 등화부품을 시작으로 인증부품을 확대해 나가고, 안정성 인증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NSF(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 규격개발 및 검증기관)시험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우수한 인증부품의 수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체부품인증제도가 활성화 되면 자동차 수리 시 저렴하고 품질이 보증된 대체부품의 사용으로 수리비용을 절감,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제조사의 판로와 부품시장이 확보돼 한국 자동차 부품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대체부품의 인증심사 신청은 한국자동차부품협회 홈페이지(http://www.kapaseal.org)에서 이루어지며, 심사는 서류심사, 공장심사, 인증부품심사 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한국자동차부품협회는 자동차부품의 개발과 품질인증 연구를 위해 미국의 대체부품인증기관인 CAPA(Certified Automotive Parts Association)와 MOU를 체결하는 등 대체부품인증제 시행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펼쳐 왔다.
김은경 기자
2015-01-08
-
맥심인터그레이티드, ‘PLC의 통합과제’ 백서 출간
김은경 기자
2015-01-07
-
“인간 기대 부응 IoT로 무한 가능성 실현”
배종인 기자
2015-01-06
-
LGD, 자동차·사이니지 사업 역량 집중
김은경 기자
2015-01-06
-
LGD, OLED 시장확대·LCD 차별화 전략
김은경 기자
2015-01-06
-
車부품協, 대체품 품질인증기관 지정
한국자동차부품협회가 대체부품인증제도 품질인증기관으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2015년 1월부터 시행되는 자동차 관리법 제 30조의 5규정에 의해 대체부품인증제도 자동차 대체부품 성능·품질인증기관으로 한국자동차부품협회(회장 김석원)를 지정한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대체부품’은 완성차로 출고된 자동차에 장착된 부품과 성능과 품질이 동일하거나 우수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부품을 말한다.
‘대체부품인증제도’는 품질을 인증받은 자동차 부품이 기존 OEM부품과 동등하게 공급됨에 따른 가격 및 품질 경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는 수리비 인하의 경제적 혜택을 주고 부품제조사들에게는 원활한 시장진출을 돕기 위해 추진된 제도다.
향후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는 부품의 소비자 안정성 검사를 위해 제조사와 현장 샘플 검사를 맡게되고, 보험개발원에서는 대체부품이 보험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각종 실험과 연구를 함께 하게 된다.
차부품협은 대체부품 인증 실(Seal)에 홀로그램을 적용해 중국이나 대만에 만연한 가짜 대체부품을 막는 인증시스템을 도입했다. 홀로그램은 지폐의 위변조 방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고 제작할 수 있는 기업은 SKC를 비롯해 국내 4군데에 불과할 정도로 복제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부품 인증제도가 활성화 되면 국내 완성차 업체 뿐만 아니라 완성차에 중요부품을 납품하는 부품업체들의 기업이미지 제고를 통해 세계시장에 쉽게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아니라 부품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돼 자동차 모델과 성능의 다양성을 기대할 수 있고, 외제차 수리비 과도하게 부담이 됐던 부분 역시 완화돼 소비자와 자동차 부품업계 모두가 환영할 만한 사항이다.
기존에는 우수 중소 부품제조사일 지라도 판로확보가 어려워 대기업 완성차 제조사에만 의지하는 부품 유통구조가 일반적이었으나 부품제조사들의 자체 브랜드 런칭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협회 관계자는 “대체부품 인증제도를 통해 자동차 수리비 절감, 보험 손해율 개선, 자동차 부품 생산중소기업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은경 기자
201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