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지구와 달이 있는 한 무한히 공급되는 또 하나의 수력발전 조력발전.
에너지원은 무료에 거의 무한에 가까운 양, 공해를 만들지도 않는 유망 발전방법으로 60년대 말부터 주목받아 왔지만 입지조건의 제한, 계절에 따른 발전량 변화 등의 단점으로 국내에는 쉽게 도입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국토해양부 연구개발 사업으로 조력, 조류, 파력 등 해양에너지 개발을 추진해왔으며 그 결실은 지난 5월 준공된 아시아 최초의 조류발전소인 울돌목시험조류발전소에 이어 세계최대 규모로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시화호조력발전소, 가로림만과 석모도의 조력발전소 건설 추진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시행하고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시공하는 시화호조력발전소는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 시화방조제 일원 작은가리섬에 건설되고 있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대우건설(지분율 45%), 삼성물산(35%), 대보건설(10%), 신동아종합건설(10%)이 시공을, 삼안건설기술공사가 설계를 맡았다.
지난 2004년 말 시작된 공사는 현재 공정률 70%를 달성했고 올해는 발전소 구조물과 수차발전설비 설치가 집중 추진된다.
완공 예정일은 내년 8월5일로 총 사업비는 3551억원에 달한다.
시화호조력발전소가 높은 관심을 받는 것은 세계 최대라는 규모에 더해 발전과 환경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시화호조력발전소는 총 발전용량 254㎿로 완공시 240㎿의 프랑스 랑스(Rance) 조력발전소에서 '세계 최대' 타이틀을 빼앗아 오게 된다.
연간 발전량도 5억5,200만kWh로 소양강댐 수력발전소의 1.56배에 달한다.
한국수자원공사 차흥윤 조력공사팀장은 "1㎾h 당 건설비용이 태양광 716원, 풍력 82원인 반면, 조력은 62원으로 저렴해 다른 청정에너지에 비해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시화호조력발전소가 본격적인 상업운전에 들어가면 연간 86만2,000배럴의 유류수입 대체효과와 31만5,000톤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이와 함께 시화호와 외해의 바닷물을 유통시킴으로써 시화호 수질개선에도 큰 역할을 하게 된다.
하루 두 번씩 시화호 밖의 바닷물을 시화호로 끌어들이고 내보내면서 자연스럽게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해서 연간 약 550억톤의 물을 정화하는 효과를 거둔다.
시화호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지난해 평균 3.7ppm에서 외해와 비슷한 2ppm 이하로 떨어질 것로 수자원공사 측은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환경개선효과 때문에 조력발전소 계획단계부터 환경단체의 큰 호응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시화호조력발전소는 규모는 물론 이용효율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다.
간만의 차가 큰 하구나 만을 막아 조지(潮地)를 만들고 외해와 조지 내의 수위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조력발전의 특성상 9m에 달하는 조차가 높은 효율을 가능케 하는 것.
시화호조력발전사업은 특히 CDM(청정개발체제)으로 진행돼 탄소배출권 획득에도 기여했다.
지난 2006년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로부터 CDM사업 국가 승인을 받은데 이어 2006년 6월 UNFCCCC(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정식으로 등록됐다.
이에 따른 배출권 판매로 약 60억원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함과 동시에 수자원공사의 재생에너지분야 CDM사업 수행역량을 확보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게 됐다.
이후 기후변화협약 2차 의무국에 포함되면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CDM사업 진출의 길을 연 것으로 공사 측은 평가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시화호와 함께 충남 가로림만 조력발전소와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도 추진 중이다.
건설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그 발전용량이 가로림만은 520㎿, 강화는 812㎿에 달해 강화조력발전소는 지금 건설 중인 시화호발전소의 3배가량의 용량을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가 되는 셈이다.
포스코건설 역시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추진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남동발전과 인천시 덕적도와 전남 신안군 바다 위에 각각 200㎿, 260㎿ 규모의 조력발전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