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 산업의 글로벌 확산과 안정적 교역 기반 구축을 목표로 한 국제 협력이 본격화됐다. 세계 각국은 청정수소 전주기 생태계 구축 전략을 공유하며, 시장 확대와 산업 경쟁력 강화의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했다. 세계 각국의 정부와 기업이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고 글로벌 공조를 강화하며, 생산단가 절감과 수요 창출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청정수소 경제 활성화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정수소 시장 창출과 교역 활성화를 논의하는 ‘제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CHTI)’이 9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수소연합이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S&P Global,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일본 JOGMEC(광물·에너지 안보기구), 유럽 H2Global, 인도 GH2 India, 한국 에너지경제연구원·전력거래소, 수소업계 및 전문가 등 국내외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행사에는 한국수소연합 김재홍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박덕열 수소경제정책관, Philippe Lafortune 주한캐나다대사, Martin Walker 주한호주대사관 부대사, Onny Jalink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부대사 등 주요 인사도 함께했다.
올해 포럼은 글로벌 청정수소 교역 활성화를 위한 투자 촉진, 공급망 설계, 정책 지원 등 실질적 협력 기반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기관 S&P Global은 발표에서 세계 청정수소 시장이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년 6월 기준 전 세계 수전해 프로젝트 규모는 약 18GW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증가했다. S&P Global은 성장 배경으로 각국의 탄소집약도 기반 정책, 청정수소 수요 창출, 공급망 확충 노력을 꼽았다. 또한 청정수소 시장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정책 지원, 대규모 공급망 구축, 규제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OECD는 청정수소 프로젝트 투자 현황을 소개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청정수소 전주기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20% 증가한 6,8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산업이 각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은 만큼, 정부 주도의 시장 창출과 민관 파트너십 병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차액계약(CfD), 수소 오프테이크 보증, 환위험 보증 등 다양한 금융 수단을 활용해 투자를 촉진하고, 국제 인증을 통해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국 기관들은 각국의 정책과 협력 계획을 공유했다. 일본 JOGMEC은 일본 정부가 저탄소연료 보급 공급망 확대를 위해 향후 15년간 차액결제계약(CfD) 기반 장기 지원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일 H2Global과의 협력 및 한일 대화 채널을 통한 공급망 구축 의지를 강조했다.
독일 H2Global은 청정수소 시장 확산을 위해 단계적 시장 형성과 확대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운영 중인 수소 공급자와 장기 계약을 체결하고, 수요자와 단기 판매를 연결하는 양방향 입찰 구조(Hintco)를 운영하며, 58억 유로 규모 1차 입찰 지원과 25억 유로 규모 2차 입찰 계획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공급자와 수요자가 효율적으로 연결되고, 청정수소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인도 GH2 India는 ‘국가 녹색수소 미션’을 통해 2030년까지 연간 500만 톤의 수소를 생산하고, 1,250억 달러를 투자하며 6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각 주정부 인센티브와 인프라 지원 정책, 그리고 인도 태양광에너지공사(SECI)의 그린 암모니아 조달 사업을 통해 비료 산업 탈탄소화도 추진 중임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각국 대표들은 국가별 정책을 넘어 국제적 협력을 통해 청정수소 시장과 수요를 공동 창출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국내 기관들도 한국의 청정수소 정책과 제도 개선 방향을 공유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청정수소 인증제의 주요 기준과 운영 방안을 소개하며,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장(CHPS)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위한 사전 컨설팅 제도가 프로젝트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인증제 고도화를 위해 AI 기반 최적화 전략과 국제 협력을 통한 MRV(측정·보고·검증) 체계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력거래소는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장의 제도 설계 방향을 발표하며, 총 발전원가, 청정수소 인증 등급, 산업 기여도를 종합 평가해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체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청정수소 시장 참여 기업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덕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환영사에서 “한국은 수소를 탄소중립 달성과 미래 에너지산업 성장동력 창출의 핵심 수단으로 보고, 청정수소 전주기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국이 함께 글로벌 청정수소 시장을 만들어가고 교역을 활성화해 청정수소 경제 실현을 앞당기자”고 강조했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은 “청정수소 확산을 위해서는 생산단가 절감과 규모의 경제 확보가 선결 과제”라며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공급망을 확장하고 교역을 확대할 때 산업 성장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청정수소 시장이 초기 단계에서 성장 국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금융·기술 해법을 다각도로 모색한 자리였다. 국가별 제도와 파트너십 사례가 공유되면서, 향후 국제 청정수소 공급망 설계와 교역 확대의 실질적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