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모든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응해 정부가 우리 철강산업의 대응방안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이달 중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13일 오전 포스코센터에서 철강업계 간담회를 갖고 美 관세 관련 대응 방향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스코, 현대제철, KG스틸 등 주요 철강기업 CEO와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2018년부터 모든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우리나라는 연 263만톤 내에서 면제를 받아왔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이 같은 예외 조치가 모두 폐지될 것이라고 지난달 예고했고 우리나라 시간으로 3월12일 오후 1시부로 발효됐다. 이에 따라 한국산 철강이 미국에 수입될 시 232조에 따른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안 장관은 최근 방미 결과를 공유하고, 현재 방미 중인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 고위급 교류를 통해 총력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안 장관은 “불공정 무역 시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 우려되고 있어, 정부는 이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특히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덤핑, 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기능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안 장관은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 및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면서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이날 확인된 업계 의견을 종합해 3월 중 철강 통상 및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에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