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적극적인 반도체 장비 구매와 AI 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웨이퍼·펩·메모리 등 반도체 장비 매출이 ’26년까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는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이 역대 최고치인 1,13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6.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17일 밝혔다.
성장세는 전공정과 후공정 모든 분야에서 지속돼 ‘25년에는 1,210억달러, 26년에는 1,3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96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웨이퍼 팹 장비 부문(웨이퍼 처리, 마스크·레티클, 팹 설비 장비 포함)은 ‘24년에 5.4% 증가한 1,0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SEMI가 ‘24년 중반기에 발표한 980억 달러보다 상향 조정됐다.
이와 같은 성장세는 AI를 위한 D램 및 고대역폭 메모리(HBM, High Bandwidth Memory)의 수요 증가세에 따라 장비 투자액의 확대된 것이 주된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규모 투자 역시 팹 장비 매출의 성장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첨단 로직 및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25년에는 6.8%, ‘26년에는 14% 성장해 전체 시장규모가 1,2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년 연속 위축세를 보였던 후공정 장비 부문은 ‘24년에, 특히 하반기 들어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반도체 테스트 장비 매출은 ‘24년에 13.8% 증가한 71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 매출은 22.6% 증가한 4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후공정 부문 성장세는 가속화될 전망으로, 테스트 장비는 ‘25년에 14.7%, ‘26년에 18.6% 증가하며,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는 ‘25년에 16%, ‘26년에 23.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성능 컴퓨팅(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에 필요한 반도체 디바이스의 복잡성 증가와 모바일, 자동차, 산업용 시장에서의 수요 확대에 힘입어 후공정 부문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파운드리 및 로직 반도체 분야의 팹 장비 매출액은 머츄어 노드(Mature Node)에서의 견조한 투자에 힘입어, ‘24년에는 작년과 비슷한 586억달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선단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등 새로운 디바이스 아키텍처 도입, 그리고 생산 능력 확대에 따른 투자 증가로 인해 웨이퍼 팹 장비 매출액은 ‘25년 2.8%, ‘26년에는 15% 성장해 69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메모리 관련 설비 투자는 AI를 위한 HBM 수요 증가와 지속적인 기술 전환에 힘입어 ‘26년까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낸드 장비 시장은 공급과 수요가 점진적으로 정상화되면서 ‘24년에는 0.7% 증가한 93억 달러로 적은 수준의 성장이 예상지만, ‘25년에는 47.8% 늘어난 137억 달러, ‘26년에는 9.7% 증가한 151억 달러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편 D램 장비 시장은 ‘24년에 35.3% 증가한 188억 달러로 강력한 성장을 보인 뒤, ‘25년과 ‘26년에는 각각 10.4%, 6.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대만, 한국은 ‘26년까지 최대 반도체 장비 투자 국가의 위치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올해 장비 투자액은 490억 달러에 이를 것이며, ‘26년까지 가장 큰 반도체 장비 투자국가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24년에 장비 지출이 감소한 후 ‘25년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중국은 투자액이 지속적인 성장하다가 ‘25년에는 다소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26년에는 모든 지역의 반도체 투자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SEMI의 CEO인 아짓 마노차는 “반도체 제조 분야의 투자가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우리 산업이 기술 혁신을 견인하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라며, “올해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은 지난 7월에 전망했을 때보다 개선됐다. 그 요인은 중국의 적극적인 장비 구매와 AI 시장의 성장세로 손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0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