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가스 업계가 구인난, 원부자재 상승 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서울경인고압가스공업협동조합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규제개선과 조합사 간 협력 및 신뢰 증진을 논의했다.
서울경인고압가스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기용)은 13일 경기도 시흥시 소재 조합사무실에서 정기 월례회를 개최했다.
이기용 이사장은 “5월 11일 고압가스업계, 산업부, 가스안전공사 등이 참여하는 고압가스안전협의회가 개최돼 탱크로리 충전 설비 설치 방식 등 고압가스와 관련된 각종 규제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날 월례회에는 고압가스연합회 심승일 회장이 참석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해 따라 안전관리 등의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면서 가스를 공급해야 한다”면서 “불합리한 부분은 개선되고 합리적인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최근 고압가스업계는 강화된 규제로 인한 설비투자, 유가 등 원부자재 급등, 운송직 구인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처해 있는 상황이다.
이에 고압가스업계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택배기사들의 임금이 오르면서 가스 운송자들을 채용하기 위해 높게 책정된 임금 비용을 가스 가격에 반영하지 않으면 사업 경영이 어려워 질 것이며 원가를 제대로 산정한 적정가격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10년 전과 비슷한 고압가스 가격이 책정되다 보니 낮은 임금으로 인한 구인난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업계가 살아나기 위해선 고압가스의 적정가격을 통해 직원들의 복리후생을 늘려 이 상황을 타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의료용 가스의 경우 코로나19 사태로 의료용 산소가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업계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의료용가스의 상한금액(보험수가) 인상의 필요성을 알리게 됐고 보건복지부에서도 이와 관련해 재고해 보겠다는 반응이라고 전했다.
서울경인조합은 고압가스연합회와 협력해 통해 산업가스 업계 앞에 놓인 난제들을 헤쳐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