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자동차, 스마트·친환경 선박 등 5개 유망 신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력 수요는 2030년에 38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IoT가전 △디지털헬스케어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시스템분야 5개 유망신산업을 대상으로 ‘유망신산업 산업기술인력전망’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신산업별 산업기술인력의 현원과 중장기 인력 수요 전망을 통한 산업기술인력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됐다.
2020년 말 기준 5개 유망신산업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24만 2,487명으로, 2018년말 기준 16만 57명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10,892명, 부족률은 4.3%로 2018년말 기준 결과(부족인원 6,754명, 부족률 4%) 대비 확대됐으며, 특히 대졸 부족률은 5.9%로 인력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향후 10년간 현원은 연 평균 4.6% 씩 증가해 2030년에는 38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5개 신산업분야별로 살펴보면, 미래형자동차 분야는 2018년 5만 533명에서 2020년 7만 2,326명으로 약 1.4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1,827명(부족률 3.5%)에서 2020년 2,644명(3.5%)으로 증가했으나, 현원대비 부족률은 동일 수준이다. 미래형자동차 산업은 향후 10년간 약 3.5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해 2030년도 현원은 10만 7,551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IoT(사물인터넷)가전 분야는 2018년 3만 1,102명에서 2020년 6만 8,831명으로 약 2.2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880명(부족률 2.8%)에서 2020년 2,268명(3.2%)으로 증가해, 0.4%p 상승했다. IoT가전 산업은 향후 10년간 약 4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7%)해 2030년도에는 10만 8,965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3만 5,549명에서 2020년 4만 4,737명으로 약 1.3배 증가 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932명(2.6%)에서 2020년 1,759명(3.8%)으로 증가해 부족률도 1.2%p 상승했다. 해당 산업은 10년간 약 2.9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5.2%)해 2030년도 현원은 74,162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드론분야는 2018년 4,823명에서 2020년 7,340명으로 약 1.5배 증가했다. 부족인원 같은기간 215명(4.3%)에서 714명(8.9%)으로 증가해 현원대비 부족률도 4.6%p 상승했다. 항공·드론 분야는 향후 10년간 약 4천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2%)해 2030년도 현원은 11,128명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디지털헬스케어는 2018년 3만 8,050명에서 2020년 49,253명으로 약 1.3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같은기간 12,900명(부족률 7.1%)에서 13,507명(6.6%)으로 증가하나, 현원대비 부족률은 0.5%p 하락했다. 해당산업은 향후 10년간 약 2.9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7%)해 2030년도 현원은 78,279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지난해 시스템분야 전망에 이어, 올해 부품·장비분야(4개), 2023년 소재분야(4개)를 조사·전망을 진행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기술인력 양성 및 공급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올해부터 미래차,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4개 신산업 부문에 3년간 총 949억원을 투자해 혁신인재양성사업 추진한다. 또한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전망 결과를 교육부·고용부 등 관계부처에 제공하고 범부처 인력양성 협업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