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절반이 차기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로 일자리 창출, 기업규제 완화 등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민이 바라는 차기정부 경제정책 과제 설문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46.7%의 국민이 차기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경제활성화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정치 개혁(30.1%) △사회 통합(9.7%) △외교·남북관계 안정(8%) △문화 융성(1.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차기정부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는 일자리 창출(28.9%)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는 △기업규제 완화(21%) △미래성장동력 확충(18.9%) △내수진작을 통한 소비촉진(10.7%) △노동시장 개혁(9.2%) △금융시장 선진화(7.8%)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업에 대해서는 기업 성장을 통한 신규고용 창출(29.7%)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20.2%) △정부 재정 지출을 통한 일자리 확대(15.2%) △고용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 육성(13%) △다양한 형태의 고용보장(12%)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차기정부가 20년 후 한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중점적으로 지원해야 할 신산업에 대해서는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21.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AI(19.1%) △전기·자율차 등 미래자동차(17.5%) △바이오·헬스(13%) △수소산업(9.3%)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차기정부의 중점 추진 소비촉진 방안과 관련해서는 △국내관광 활성화(22%) △카드사용 소득공제 확대(21.6%) △저소득층 물품구매 바우처 지급 확대(16.1%)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노동시장 개혁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으로는 법 위반에 대한 엄정한 대처(26.5%)라는 응답이 제일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노사간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법제도 정비(18.6%)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17.2%) △노사 자율적 타협 유도(10.8%) △사회적협의체 기능 강화(10.7%)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금융시장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금리안정(29.5%) △가계부채 효율적 관리(22%) △주식시장 선진화(16.2%) △금융규제 완화(15.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국민과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제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차기 정부가 시급하게 추진해야할 사업으로는 물가 안정(39.5%)과 부동산 수급 안정화(31.8%)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실업문제 대책마련(14.8%) △노사관계 안정(5%) △요소수 등 생활필요물자 수급불안 해소(4.6%)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향후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경제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