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현대중공업 등 관련 기업들이 조선해양 분야에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사업화를 추진한다.
울산시는 지난 8일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에서 ‘조선해양분야 삼차원프린팅 사업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무협약 참여기관 및 기업은 △울산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3디(D)프린팅 융합기술협회 △한국선급 △현대중공업 △한국주강(주) △장진(주) △에스에프에스 △(주)쓰리디팩토리 △메탈쓰리디 등 총 11곳이다.
이번 협약은 조선해양 분야와 3D프린팅 산업의 융합을 선도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협약기업들은 공동 연구개발 사업으로 △3D프린팅 선박모형 제조 사업 △조선해양 분야 3차원프린팅 주조품 실증 사업 △선박용 3D프린터 개발 사업 △3D프린팅 의장품(선체에 부착하는 여러 기구와 구조물) 개발 사업 등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별로 살펴보면 선박을 건조하기 전에 사전 제작하는 축소 모형(모델 쉽)을 3D프린팅으로 제작하는 기술개발이 오는 6월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된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3D프린팅융합기술협회 등이 참여하며 완성품은 현대중공업 등에 납품될 예정이어서 해당 기술의 사업화 확대가 기대된다.
3D프린팅 주조품 실증 사업은 복잡하고 특수한 모양의 조선해양 장비와 부품을 3D프린팅으로 생산하는 사업이다. 한국주강이 50억원을 투자해 2023년 6월 사업화를 목표로 약 1년 6개월 동안 실증사업에 나선다. 이를 통해 3D프린팅 적용 부품 생산과 기술력이 확대되면 조선산업 경쟁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선박용 3D프린터 개발 사업은 운항 중 주요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할 때 선내에서 즉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는 것으로 오는 2025년을 목표로 3년간 30억원이 투입된다.
3D프린팅 의장품 개발 사업은 고내열성 복합재료를 활용한 3D프린팅 장비 및 공정 개발로 선박 의장품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해 생산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사업에는 ㈜장진이 제작 파트너로 참여해 3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3D프린팅 기술과 조선해양 분야의 융합을 통해 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을 동시에 이루겠다”며 “조선해양과 3D프린팅 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