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중립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1,843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중소·중견기업 탄소중립 대응지원 사업을 7일 공고했다고 밝혔다.
올해 중소·중견기업 탄소중립 대응지원은 △감축분야(316억원) △취약지역 공정전환 등 적응분야(27억원) △금융지원 등 기반구축 분야(1,500억원) 등 총 1,843억원이 투입된다.
감축분야에서는 사업장 전체나 공정에 기술을 적용해 탄소배출량을 감축시키고 사례를 확산시킬 수 있는 대표모델 사업장을 구현하는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사업에 60억원이 투입된다. 사업장별 최대 30억원(연간 15억원), 중소 최대 50%, 중견 최대 40%까지 지원한다.
산단 내 클린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은 산업단지 내 중소·중견사업장의 오염물질감축을 위해 공정개선·설비보급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36억원이 투입된다. 사업장별 최대1.2억원 이내,중소 최대 75%, 중견 최대 50%까지 지원한다.
청정제조기반구축 사업에는 20억이 투입돼 에너지사용량이 2천TOE/년 미만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부산, 울산 등 8개 지자체와 함께 생산공정 단열 기술 등 청정생산 기술을 발굴하고 보급한다.
탄소중립 전환과정에서 직·간접 피해를 최소화 하는 적응분야에서는 다배출 업종 공정전환 진원사업으로 27억원이 투입된다. △기업 맞춤형 컨설팅 △근로자 교육·훈련 △지역별 공정전환 전략기획과 공공 및 민간 전문기관과의 협력, 저탄소 제품·기술 아이디어 고도화를 지원한다.
선제적 투자 기업 지원과 신산업을 육성하는 기반분야에는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에 1,500억원이 투입된다. 시설 및 기술·공정·제품 개발에 선제적인 투자를 하는 기업을 선별해, 장기 저리로 융자를 지원한다.
이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신용보증기금,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업무체계를 구축해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기 위한 탄소중립 산업전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생산기술연구원과 산업단지공단은 금융지원이 필요한 산업체 수요를 발굴하고, 신용보증기금은 상품을 신설해 올해 5천억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업무협약 이후에는 산업부 최남호 산업정책관 주재로 중소·중견기업 대표, 임원진들과 간담회가 개최됐다. 중소·중견 제조업의 탄소중립 이행 방안을 공유하고 이행과정에서 애로 및 건의사항을 수렴했다.
산업부 최남호 산업정책관은 “올해는 2050 탄소중립,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을 이행하는 원년으로,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직면하는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 사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2월8일 군산· 광주 △2월9일 구미·대구 △2월 10일 창원·부산 △2월 11일 인천·안산 지역 탄소중립 대응지원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2월18일에는 온라인 설명회를 별도로 연다. 사업설명회에서는 사업 소개와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사업공고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