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가 반도체 소재 및 메타버스 구현 등 핵심 나노 및 소재기술 개발에 3,158억원을 투자해 기술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6일 ‘2022년도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은 과기정통부 소재·부품·장비 대표사업으로 2019년도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규모가 크게 증가했으며, 반도체 구리 도금액 신소재 개발 등 기술자립과 미래기술 확보에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 2,879억원에서 약 10% 증액된 총 3,158억원이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또한 미래선도형 기술개발에 초점을 두어 미래기술연구실 30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 15개 등 총 55개 신규과제를 추진한다.
미래기술연구실은 10년 이후의 신산업 선점을 위한 소부장 기술난제 극복을 목적으로 현재 총 34개 연구실이 운영 중이다.
올해는 △혈관 치료용 생분해성 금속 소재 △실감형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구현 감지기(센서) △폐플라스틱 자동 선별 기술 등 65대 소부장 미래선도품목 확보 및 미래기술 유행(트렌드) 기반 창의적 연구에 30개 신규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5년 내 주력산업 분야 185대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자립을 목표로 하는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은 현재 총 57개 연구단이 운영 중이다.
이번에는 △ 반도체 극자외선(EUV) 공정 정밀도 향상 △고주파 필터용 소재(5G·6G) △고감도 수소감지 소재 등 국가필수전략기술 관련 소재 연구단을 중점 모집한다.
새로 추진하는 지능형로봇 기반 지능형(스마트)소재연구실은 지능형로봇을 활용해 소재의 설계, 합성, 성능평가를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화하여 신소재 개발 비용과 시간을 기존대비 5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 연계를 통한 실험 설계 자동화와 실험실 자동화 플랫폼을 시범 개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나노 및 소재기술은 반도체, 수소, 우주 등 국가필수전략기술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올해에는 새로운 연구들이 우리나라 소부장 기술경쟁력을 갖추고 미래를 선점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