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01-24 18:12:03
  • 수정 2022-01-25 16:30:04
기사수정

▲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단위 : 전년대비 상승률, %. 자료:한국은행)


지난해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재료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생산자물가가 상승,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연간 2.3%p 감소하는 등 거시경제와 기업채산성에 부담을 미쳐 원자재 공급망 확보 및 국제 물류 지원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국제원자재 가격급등이 생산자물가 및 기업채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24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2021년 중 수입물가는 전년대비 17.6%나 올랐는데, 수입물가를 구성하는 항목 중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률이 42.3%로 가장 높았다. 원재료수입물가의 이러한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4.6%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다.


2021년 중 원재료수입물가가 급등한 원인은 국제원유를 중심으로 한 국제원자재 가격의 가파른 상승 때문이다. 지난해 국제원유가격은 유종별로 현물가격 기준 51.4%(브렌트)에서 최대 58.7%(WTI)까지 올랐다. 비철금속가격도 알루미늄 42.2%, 아연 31.5% 등이 큰 폭으로 올랐고, 주요 곡물가격도 선물가격 기준으로 옥수수가 22.6%, 소맥이 20.3% 상승했다.



▲ 21년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이‘21년 생산자물가에 미친 영향(단위 : %, %p, 자료:한국은행)


한경연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분석한 결과, 원재료수입물가가 1%p 올라가면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0.134%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21년 연간 기준으로 적용하면, 2021년 42.3%의 원재료 수입물가 급등은 2021년 생산자물가주를 5.7%p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원재료 수입물가 50% 흡수, 50% 가격 반영시 비금융업 채산성·가격 변화폭(단위: %p, 자료:한국은행)


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기업 스스로 자체 흡수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품판매 가격에 반영(전가)한다는 가정아래 국제원자재가 상승이 기업채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비금융업 전체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코로나19 이전인 5년(‘16년~‘20년)간 평균 5.1%였는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매출액영업이익률이 2.8%로 이전보다 연간 2.3%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의 가격전가로 인해 생산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은 6%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매출액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대기업이 2.5%p, 중소기업이 1.9%p로 대기업이 더 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대기업이 더 많이 받는 것은 매출액대비 재료비 비중이 대기업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원유, 비철금속 등 원자재 수입비중이 높아 국제원자재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국내 거시경제 및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수입관세 인하, 국제물류 지원 등을 통해 수입물가 상승압력을 최대한 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756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