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4곳 중 1곳이 올해 설 자금사정이 곤란해 정책기관 및 금융기관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월6일부터 12일까지 8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자금사정이 ‘곤란하다’ 응답이 26.0%로 ‘원활하다’는 응답 20.4%에 비해 다소 높았지만, 2021년 설 자금 수요조사 ‘곤란하다’ 38.5%에 비해서는 자금사정이 나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규모별로는 매출액과 종사자수가 적을수록 자금사정 ‘곤란하다’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매출액 10억원 미만(48.7%)과 종사자수 10명 미만(38.1%) 기업이 타 규모에 비해 ‘곤란하다’ 응답이 눈에 띄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기업(14.7%)보다 내수기업(27.9%)에서 자금사정이 더 곤란하다고 응답했다.
자금사정 곤란원인으로는 △판매·매출부진(68.3%) △원·부자재 가격 상승(56.3%) △인건비 상승(31.3%) △판매대금 회수 지연(10.6%) 순으로 응답했다. 자금사정 곤란과 관련해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85.6%에 달했다.
중소기업은 올해 설에 평균 2억 7,150만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으며, 이는 지난해 설 평균 2억 1,490만원 대비 약 5,660만원 증가한 금액이다.
필요한 설 자금 중 부족한 자금 확보계획(복수응답)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조기회수(50.3%) △금융기관 차입(30.2%) △결제연기(21.1%)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대책없음’ 응답이 21.1%로 지난해 설 10.4%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설 상여금(현금) ‘지급예정’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37.6%에 불과하며, ‘아직 미정’인 업체가 20%에 달했다.
정액 지급 시 1인당 평균 44.7만원으로 지난해 설 대비 3.5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률 지급 시 기본급의 60.4%를 지급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설 휴무계획에 대해서는 95%의 업체가 설 연휴 전체 5일을 휴무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돼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와 내수기업일수록 자금사정이 곤란한 상황이므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설 자금이 원활히 확보될 수 있도록 정책기관 및 금융권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