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기반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탄소소재 기술과 시장을 전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1월25일 ‘탄소중립 위한 핵심소재-2022년 탄소소재 및 융복합 혁신기술과 사업전략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개최 한다고 밝혔다.
탄소소재로 자동차 차체 무게를 줄이면 연료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유화학 정제공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탄소소재를 이용해 제거하면 회색수소가 청정수소인 블루수소로 업그레이드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1월25일 세미나에서는 △탄소소재 탄소중립 기여 및 수요 확대와 신시장 창출 방안 △2022년 탄소섬유(Carbon Fiber) 기술개발 동향과 적용방안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를 이용한 2차전지 적용기술과 비즈니스 연계전략 △그래핀 제조기술 및 적용방안과 기대효과 △탄소복합소재를 이용한 전기·수소차 부품 금형 및 성형 적용기술과 비즈니스 연계전략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에너지 및 전기·수소차 적용기술과 비즈니스 연계전략 △탄소복합소재를 이용한 풍력발전 적용기술과 비즈니스 연계전략 △카본블랙(Carbon Black)/활성탄소 응용기술 및 시장전망과 국제경쟁력의 현주소 등의 주제가 발표될 예정이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위하여 탄소섬유 및 카본블랙, 활성탄소, 인조흑연, CNT 등 5대 탄소소재의 국내외 동향과 연구기술개발 및 적용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신사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많은 분들에게 새롭고 유익한 정보가 제공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과 세미나 신청은 산업교육연구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