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산업이 고부가선 수주확대로 8년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가 5일 발표한 2021년 선박 수주 실적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주량은 ‘20년 대비 112%, 코로나19 상황 직전인 ’19년 대비 82% 증가한 1,744만CGT로, 1,845만CGT를 기록한 ‘13년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년 전 세계 조선의 발주량은 총 4,696만CGT로, 1,010억불의 수익을 기록했으며 이중 국내 수주비중은 37%인 1,744만CGT와 430억불을 기록하며 전체 수주량의 43%를 차지했다.
이 중, 고부가가치 선박이 1,252만CGT를 기록하며 72%의 비율을, 친환경 선박이 1,088만CGT를 기록하며 62%의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전 세계 발주량 1,940만CGT(302척) 중 65%에 달하는 1,252만CGT(191척)을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는 등, 고부가·친환경 선박을 우리니라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조선업의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현황을 선종별로 살펴보면, △대형 LNG운반선의 경우 전세계 발주량의 89.3% △VLCC(Very Large Crude-Oil Carrier)은 88% △대형 컨테이너선(1.2만TEU 이상)은 47.6%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친환경선박의 경우 또한 1,709만CGT를 기록하고 있는 전 세계 발주량 중 64%에 해당하는 1,088만CGT를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하여 전 세계 수주량 1위를 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주된 친환경선박의 연료 현황을 살펴보면, △LNG 추진 선박(82.4%) △LPG 추진 선박(11.6%) △Methanol 추진 선박(4.5%)로 조사됐다.
국내 중·대형 조선사 또한 높은 수주실적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현대 3사(현대중공업, 현대미포, 현대삼호)는 228억불 △삼성중공업은 122억불 △대우조선해양은 108억불을 각각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한·대선·케이조선·한진 등 중형조선사의 경우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발주량이 반등한 작년과는 달리 올해 세계 발주량은 23.3% 감소한 3,600만CG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20년 코로나19로 발생했던 이연 수요 해소 △작년 수주계약 증가에 따른 조선소의 슬롯 제한 △선가상승에 따른 선주의 발주 시기 관망 등에 따른 것이다.
한편, 산업부는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조선·해운업의 위기 극복 노력과 상생 협력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K-조선·해운의 재도약, 상생 협력을 통한 희망찬 미래’ 백서를 발간하였으며 이는 작년 수주성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