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해 고해상도를 낼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의 소재 기술 개발과 실제 제품까지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포토레지스트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소재이다. 하지만 빛을 받으면 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소재의 생산과 이를 다루는 기술을 어렵게 만드는 탓에 지금까지는 주로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9년 포토레지스트의 수출 규제가 본격화되며 ETRI는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우선 포토레지스트의 안료를 국산화함과 동시에 이를 적절히 배합하며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에 창작되기 위한 낮은 온도에서도 균일한 색이 도포될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 소재를 개발했다.
이후 ETRI는 개발된 포토레지스트 소재를 국내 최초로 OLED에 적용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한 픽셀 당 3㎚ 이하로 1인치당 2,300개 픽셀이 밀집된 초고해상도 패널을 이용, 0.7인치 크기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검증을 완료한 뒤, 연구진은 개발된 소재를 이용, 국내 기업에 독점 공급을 이룸과 동시에 세계 최초 상용화 사례를 남기며 600억 이사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조남성 ETRI 책임연구원은 “이번 성과가 소부장 자립은 물론, 우리나라가 디스플레이 산업 종주국 지워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ETRI는 1인치당 픽셀이 3,000개가 들어갈 정도로 더욱 높은 해상도를 지닌 패널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개발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을 관련 기업에 이전하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