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전북대 등 대학의 나노인프라가 업그레이드 돼 지역 나노·반도체 기업 지원 및 기술개발이 활성화 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는 ‘대학나노기반(인프라) 혁신사업’ 수행기관 모집 결과 △서울대-한양대(수도권) △DGIST-울산과학기술원(강원·영남) △전북대-광주과학기술원(호남·충청·제주) 등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학 나노기반(인프라) 시설·장비 고도화를 통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나노분야 연구·산업 수요에 대한 개방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국제 현안인 반도체 기술개발․인력양성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기부는 이번에 선정된 대학들에 향후 3년간 총 270억원을 지원해 기보유하고 있는 나노팹 시설·장비를 고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권역의 연구·산업 관련 팹시설 이용수요를 개방형서비스 기능을 강화해 지원하게 된다.
또한 이들 대학들은 기존 6대 국가나노기반(인프라) 기관들과 협력해 각 권역별로 지역나노기반 협력체계를 갖추고 해당 지역의 연구·산업·인력양성 수요지원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과기부는 국내에 산재된 나노기반 역량을 통합·연계해 한번에 접수·서비스가 가능한 원스톱서비스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과기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학들이 기존 국가나노인프라와 역할을 잘 분담해 지역의 나노․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시제품 제작, 인력난 해소 등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산재된 나노인프라 역량을 결집해 일괄공정 수준의 팹서비스를 통해 난이도가 높은 서비스 수요 대응에도 큰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