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소자 기업과 소재·부품·장비기업 등이 모여 ‘K-반도체 전략’ 성공을 위해 힘을 모은다. 정부는 센서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내년부터 기술개발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28일 반도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반도체 연대·협력협의체가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문승욱 장관,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이현덕 원익 IPS 대표, 여문원 미코세라믹스 대표, 정칠희 네패스 회장 등이 참석했다.
협의체는 삼성·SK하이닉스 등 소자기업, 소재·부품·장비기업, 팹리스, 파운드리, 패키징 기업 등 업계 대표와 반도체 분야 학계·연구기관 대표 등 총 30명으로 구성·운영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업계 차원에서 그간 추진된 연대협력 성과 △향후 추진계획 공유 △‘K-반도체 전략’ 주요과제 검검 및 향후 정책 추진방향 등이 논의됐다.
반도체 협회는 그간 반도체 펀드 2,200억원(총 86건) 투자로 중소·중견기업 성장 촉진에 기여했다. 또한 소부장 성능평가 지원사업을 통해 사업화 매출 147억원, 투자 526억원, 특허출원 82건의 성과를 달성했다.
향후에는 온세미코리아 2,500억원 규모 국내투자를 통한 전력반도체 생산 확대(~’25년, 부천) 등 차량용 반도체 공급기반 확충, 시스템반도체 수요연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R&D 결과물의 상용화 지원, 소자기업과 소부장기업간의 협력을 통한 탄소중립 R&D 추진 등 연대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도 지난 5월 발표된 ‘K-반도체 전략’을 통해 R&D·시설투자 세액공제율 확대 세법개정안 국회 제출 등 성과와 함께 삼성-KAIST 계약학과 개설 합의, 반도체 인력양성 예산 3배 이상 확대 등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데이터 경제의 관문으로 중요성이 커진 센서산업에 대해서도 ‘K-센서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022년부터 7년간 총 1,865억원을 투자해 센서산업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 문승욱 장관은 “‘K-반도체 전략’이 세제·금융·인력양성 등 주요 분야에서 가시적 실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기업투자 관련 인허가 지원 및 주요규제 합리화 등 주요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며 “반도체 업계의 연대와 협력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도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