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올해 코로나19 장기화로 매출 부진, 원자재 가격 및 금리 상승 등, 추석 자금 사정 곤란으로 정책 및 금융 기관들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8월 12일부터 26일까지 9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중소기업 추석 자금 수요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중소기업 절반 이상(55.8%)이 추석 자금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자금사정 ‘곤란’ 응답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사정 곤란원인으로는 △판매·매출부진(78.5%) △원부자재 가격 상승(53.0%) △인건비 상승(25.7%) △판매대금 회수 지연(21.3%) 순으로 응답했고, 자금사정 곤란과 관련해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96.4%에 달했다.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이 ‘곤란’하다는 응답은 36.9%로 ‘원활’하다는 응답(17.0%)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금융기관 거래 시 애로사항으로는 △매출액 등 재무제표 위주 대출(34.2%)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은 △고금리(29%) 응답은 지난해(15.6%)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올 추석에 평균 3억7,800만원의 자금(임금, 원자재 등 단기운영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으며, 필요자금 중 확보하지 못해 부족한 금액은 4,760만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12.6%로 나타났다.
부족한 추석 자금 확보계획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조기회수(45.3%) △결제연기(40.4%) △금융기관 차입(30.2%)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대책없음’ 응답도 16.4%를 차지했다.
올해 추석 상여금 지급계획에 대한 물음에는 ‘지급예정’이라는 응답이 34.2%로 가장 많았고, △연봉제 실시(연봉에 포함 등)로 미지급(31.3%) △아직 결정 못함(21.3%) △경영곤란으로 미지급(13.1%) 응답이 뒤를 이었다.
정률로 지급하는 업체는 평균적으로 기본급의 63.2%, 정액으로 지급하는 업체는 평균 45.3만원을 지급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추석 휴무 계획은 평균 4.8일을 휴무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한 판매부진과 원자재가격 급등, 인건비 상승 등 경영애로 요인이 더해지고 최근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증가해 중소기업의 자금애로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추석을 앞두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자금지원 원활화를 위한 정책기관 및 금융권의 각별한 관심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