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테크노파크가 고성능 전지 개발사업을 통해 미래전지산업의 중심지로 도약에 나선다.
전북테크노파크(양균의 원장)는 ‘스마트 수송 인프라 기반 고성능 전지 소재부품 기술사업화 플랫폼 구축사업’이 R&D 혁신밸리 육성사업 공모에서 최종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전기·수소차 개발에 이어 미래전지 개발사업까지 추진하게 돼 전북형 그린뉴딜과 탄소중립의 산업생태계 퍼즐을 완성하는 효과를 거두게 됐다.
이 사업을 통해 전국 최초로 드론에 탑재될 초경량 리튬이온 커패시터를 개발하고, 250w급 탄소섬유기반 연료전지 발전 모듈 등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2023년까지 총 123억원이 투입되며 신규고용 112명과 수혜기업의 7%이상 매출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
금번 사업은 전북TP가 주관기관으로 △뉴파워프라즈마 △비나텍 △디쏠 △VCA KOREA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캠틱종합기술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자동차융합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총 11개 기술혁신기관과 기업들이 협력한다.
이번 공모 과제는 지방단위에서 추진하는 단일 연구과제가 100억원이 넘는 상당히 이례적인 대형 프로젝트 사업에 전북이 선정되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양균의 원장은 “본 사업을 통해 전북TP가 중심이 되어 지역 특화기술사업화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기업의 니즈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여 전라북도가 미래전지산업의 메카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