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황 부진으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된 울산 동구, 목포·영암·해남 등 5개 지역이 다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28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거쳐 5월 지정만료 예정이던 울산 동구, 경남 거제, 창원 진해구, 통영·고성, 전남 목포·영암·해남에 대하여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기간을 2년간 연장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조선업에 대한 지역경제 의존도가 높은 지역으로 조선업황 부진에 따른 주요 조선사 및 협력업체의 경영난이 지역 전반의 침체로 확산됨에 따라 2018년 5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된바 있다.
정부는 지난 3년간 경영안정자금, 만기연장 등 금융조치와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을 통해 업체의 경영난 완화에 기여했으나 보완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등 진행중인 중장기 프로그램은 아직 본격적인 성과 창출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지정연장을 결정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울산 동구 및 거제는 대형조선사가 본격 가동에 이르지 못함에 따라 회복이 지체되고 있으며, 중소조선사 및 기자재업체가 밀집한 인근 지역도 생산활동 둔화가 지속중이다.
창원 진해구, 통영·고성 등 지역은 중형조선사의 인수합병 절차가 완료된지 얼마되지 않았거나(HSG성동조선, 통영), 절차가 진행중인 단계로(STX조선해양, 창원 진해) 아직 예전의 생산량과 고용 수준을 보이고 있지 못하고 있다.
목포·영암·해남은 대표기업인 현대삼호, 대한조선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배후도시의 상권침체가 지속 중이다.
산업부는 이들 지역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경영난 해소와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과 근로자·실직자에 대한 생계안정 및 재취업 지원을 계속하고, 조선 기자재업체 기술지원, 친환경·고부가 선박 기술개발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와 함께 해상풍력, 첨단 기계, 항공, 관광 등 보완산업 육성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