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 미래차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핵심기술인 차량용 반도체, 배터리 등 6대 기술개발(R&D)에 집중 투자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서울 상암 자율주행시범지구에서 열린 ‘제8차 혁신성장 빅3 추진 회의’에서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이 지속되면서 우리 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완성차의 생산 차질이 확대되고 수급 불안 장기화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라면서 “기존 차량용반도체 수급 대책에 이어 추가 과제를 발굴해 집중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대책 추진동향 및 추가대응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R&D 추진방안 △2025년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지원방안 등이 논의됐다.
현재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로 국내 현대차, 한국GM, 쌍용차 등이 생산차질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반도체 부품 신속통관, 기업인 자가격리면제 신속심사, 표준센서 수급애로 해결지원 등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추가 대책으로 단기간 사업화가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품목을 발굴하고 소부장 양산성능평가지원사업(2021년 400억원)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에는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해 단기간 내 자립화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미래차 전력 반도체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SiC(탄화규소)·GaN(질화갈륨) 기반 전력반도체 등에 대한 신규 R&D 예산도 지원한다. 또한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협의체를 통해 수급안정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4월 중 중장기 차량용반도체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에 착수해 연내 발표할 계획이다.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R&D 추진방안으로 올해 관련 연구개발에 전년대비 37% 늘어난 3,679억원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투자 강화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미래차 시장을 좌우하는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자율차 통신 △차량용 반도체 △차량용 센서 △자율주행 SW 등 6대 핵심기술 개발에 R&D를 집중 투자한다.
아울러 미래차로 생태계 전환을 위해 초고효율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내연차 고도화와 함께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기술개발 수요를 반영한 지원이 추진된다. 자율주행차를 접목한 택시·배송 등 다양한 서비스모델도 개발해 수요자의 요구 등을 반영한 단계적 보급 확산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2025년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2025년 전국 고속도로 및 지자체 주요거점에서 자율주행 상용서비스가 제공되고 10종 이상의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개발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말 지정된 서울 상암 등 6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에서 유상실증서비스를 올해 상반기 중 개시하고, 하반기부터 실증결과를 토대로 규제·법령 정비를 추진한다.
올해 중 자율주행 대형버스 개발을 완료하고, 교통약자 이동지원, 긴급차량 통행 지원, 공유차, 사고 예방 순찰 등 7대 핵심 공공서비스 개발도 지원한다.
아울러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다음 달까지 수립하고, 부처별 자율주행 데이터 연계를 통한 서비스 개발 지원 및 자율자동차 제작부터 전 과정을 통합한 신규 데이터 플랫폼을 2025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