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는 인공지능(AI) 중심도시, 울산은 수소 선도도시, 시흥은 무인이동체 거점도시로 본격 투자, 개발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3일 제116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개최하고, ‘광주·울산·황해(경기 시흥) 추가지정(안)’, ‘광양만권 율촌3산단 자발적 지정해제(안)’ 등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추가지정을 통해 국내외기업 투자 8조3,000억원, 생산유발 23조2,000억원, 고용유발 12만9,000명, 부가가치유발 8조7,000억원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광주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생체의료, 스마트에너지 등 신산업 중심의 육성을 통해 외투유치 및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할 계획이다.
2020∼21년 9,996억원, 2022년∼27년 6,283억원 등 국내외기업 총 1조6,279억원의 투자유치를 달성할 계획이다.
AI분야에서는 실리콘밸리와 기술협력 강화 및 연구소(팔로알토 등) 등 유치할 계획이며, 스마트에너지분야에서는 한전 등과 연계해 스마트그리드 및 에너지효율향상 분야 고부가가치 창출기업 투자유치에 나설 예정이다. 미래자동차는 친환경 자동차부품 클러스터 중심으로 관련 기업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 10조3,641억원, 고용유발 5만7,496명, 부가가치유발 3조2,440억원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은 전주기 수소산업을 기반으로 생산·저장 및 운송·활용 등 관련 신산업 육성을 통해 미래 수소경제 선도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다.
2020∼21년 1조3,580억원, 2022∼30년 4조1,964억원 등 국내외기업 총 5조5,544억원 투자유치를 목표로 한다.
수소산업거점지구는 UNIST, 수소연료전지실증화센터, 에너지기술연구원과 협력 강화로, 기업부설 연구소 및 수소 관련 기업 유치에 나서며, 일렉드로겐오토밸리는 앵커기업인 현대모비스 등을 중심으로 수소자동차 부품 및 연료전지 협력사 유치에 나선다. R&D비즈니스밸리는 수소산업 사업화 및 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MICE산업 및 주거·교육·의료·여가 시설 투자 유치에 나선다.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 12조4,385억원, 고용유발 7만6,712명, 부가가치유발 4조9,036억원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해 시흥 배곧지구는 육해공 무인이동체 연구개발, 실증을 통해 무인이동체를 글로벌 신산업으로 육성하는 거점도시로 발전할 계획이다.
2022∼27년 국내 5,561억원, 외투기업 5,681억원 등 국내외 기업 총 1조1,242억원 투자유치를 목표로 한다.
교육·의료복합용지는 무인이동체 관련기관 및 혁신기업 유치에 나서며, R&D용지는 여우미(IoT 연구개발) 등 국내외 혁신형 강소기업 유치에 나선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에 변화하는 투자환경에 대응하고, 경자구역이 경제특구로서 본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향후 △경제특구로서의 역할 재정립 △규제혁신 △투자 인센티브 개선 △산업·지역정책 연계 등 네 가지 방향의 혁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