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전극 시장이 터치방식의 입력기능을 채택하는 전자기기의 확대와 터치센서 이외 분야로의 채택이 늘어나며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신소재 기술개발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교육연구소(www.kiei.com)는 오는 1월19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2017년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신소재 기술개발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를 위하여 ITO 박막의 단점을 극복하고 대체하기 위하여 현재, 투명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신소재로 은 나노와이어, 그래핀/CNT, 전도성 고분자, 투명전도성 산화물 및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등 각각의 유연하고 신축적인 소재별로 제조, 공정기술 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뿐만 아니라 관련기술의 국내외 특허분석과 IP확보전략에 이르기까지의 제반정보를 심도있게 논의된다.
세미나 주제는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소재별 종류/특성과 연구, 기술개발동향 및 주요과제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기반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 기술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그래핀/CNT 기반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 기술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그래핀 소재의 합성방법과 투명전극 및 복합소재의 용도별 응용기술/적용사례 △은 나노와이어 기반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 기술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기반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 기술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전도성 고분자 기반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제조 기술개발동향과 기대효과 및 주요과제 △은 나노와이어+인듐아연산화물(IZO)+전도성고분자의 고성능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전극 제조 기술개발과 활용 및 기대효과 △고유연-고신축 투명전극 소재별 관련 기술의 국내외 특허분석과 IP확보전략 등이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기존 투명전극과 새로이 생성되는 투명전극 기술 및 시장을 비교분석하고 관련업계에게는 미래 발전전략과 방향제시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소중한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kiei.com)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