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노산업이 지난 5년간 연평균 10.7% 성장하면서 전체 제조업분야 중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국내 나노융합기업 5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도 나노융합산업의 매출액은 총 132조2,930억원으로 제조업 전체 대비 약 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5년간(2010~2014년) 매년 10.7% 증가해 동 기간 제조업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 2.6% 보다 약 4배 정도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분야별 매출을 살펴보면 나노전자가 약 119조원(90%)으로 1위를 기록했고 그 뒤를 나노소재 10조원(8%), 나노장비·기기 분야 약 1조8천억원(1.3%), 나노바이오·의료 약 7천억원(0.5%)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나노바이오·의료가 27.8%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그 다음이 나노전자(11.5%), 나노소재(4.7%)순이었다.
2014년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61개사의 매출액이 127조로 전체 매출액의 96.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29개의 중소기업의 매출액은 4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3.4%에 해당했지만 전년대비 매출액이 38.9%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4년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나노융합산업의 R&D투자는 10조3,689억원으로 전체 R&D의 16.4%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 5년 간 나노융합산업의 R&D 투자는 연평균 18.0%를 기록해 국내 전체 연구개발비 연평균 성장률 9.8% 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가장 많은 투자가 시작된 분야는 나노전자로 9조9,693억원, 다음이 나노소재(2,124억원), 나노장비·기기(1,411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2014년 나노융합산업의 고용인원은 14만 6,062명으로 제조업 고용인원 290만 4,914명의 약 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노융합산업의 석․박사 인력 비중은 30% 가량으로 산업 전체(8.6%)에 비해 월등한 수준으로 고급인력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경환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나노융합산업은 지난 5년 동안 전체 제조업 매출액 중 비중이 6.6%에서 9%로 증가할 정도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대표적인 융합 신산업”이라고 강조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주요산업으로 주목받는 나노융합산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