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정부는 창의 신기술, 소재부품, 시스템 등에서 총 279개 핵심기술 개발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17일 ‘산업R&D조정위원회’를 개회하고 ‘2016 산업기술 R&BD전략’을 수립했다.
수립된 R&BD전략은 글로벌 산업트렌드, 국내외 R&D투자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소재부품·시스템·에너지 산업분야(42개 세부산업), 279개 핵심기술개발테마를 발굴·제시했다.
2016년도 중점투자방향을 살펴보면 고령화, 삶의 질 향상, 창의·감성의 중요성 부각 등에 대응하여 신기술·신시장 지속 창출에 나선다.
또한 소재부품(철강, 화학, 반도체 등), 시스템(조선, 기계, 자동차 등) 등 주력산업에 IT·신기술을 접목해 관련 산업 고도화에 나선다.
더불어 한중 FTA 체결, 중국의 급속한 기술추격, 일본기업 부활, 신흥국 주도 시장재편 등에 대응해 △차세대 수출 주력품목 기술혁신 지원 △첨단 시스템·장비용 핵심소재부품 개발, 핵심소재 국산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어 기후변화, 안전 등을 중심으로 에너지 분야 현안이 전 세계적 수준으로 확대해 △에너지 효율향상, EMS·ESS 기술을 통한 탄소배출 저감 △신재생에너지 효율 제고, 원자력 안전, 기저 발전원 고효율화 등을 진행할 방침이다.
2015년 전략과 비교해서는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국가 R&D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핵심투자대상과 테마수를 대폭 축소했다.
또한 산업간 연계가 필요한 대형과제 중심으로 총 16개 테마에 5개의 융·복합 핵심투자대상을 발굴한다.
더불어 전년대비 ICT와 제조업 융합에 기반한 산업 고부가가치화와 신기술·신시장 창출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한중 FTA 대응, 제조혁신 3.0, 산업엔진, 에너지신산업 육성 등 주요 정책과 연계성을 강화한 총 124개 테마의 핵심기술개발에 나선다.
이에는 한·FTA 대응과 관련해 폴리우레탄 중간체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기술, 셰일가스 대응 올레핀 제조·고부가가치화 기술 등 54개 기술개발이 실시된다.
제조혁신 3.0과 관련해서는 ICT 융합 의류제조업 혁신, 스마트 가공 시스템, 스마트공장 대응 제조용 로봇 등 35개 기술개발에 나서며, 산업엔진과 관련해서는 고유연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기술, 자율주행 기술 개발, 신공정 및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기술 등 23개 기술개발에 나선다.
에너지신사업과 관련해서는 ESS 통합서비스,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에너지 자립섬, 전기자동차, 태양광 리스대여 등 12개 기술개발에 나선다.
고령화·개인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적 변화, 감성·가치·창의의 중요성 대두, 융복합 가속화 등 글로벌 트렌드 분석에 기반해 기술혁신의 편익이 실생활에서 체감되게 하는 8개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드를 중심으로 총 133개 테마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부는 원칙적으로 핵심기술개발테마 범위 내에서 내년도 R&D신규과제를 기획·지원할 계획이므로 R&BD전략은 산업부 R&D지원의 나침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산업부는 산업기술 R&BD전략이 정부 R&D는 물론 민간투자에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2017년 전략 수립 시에는 산업 트렌드 및 대내외 민간·정부 R&D 투자동향을 보다 엄밀히 분석해 R&D투자의 포트폴리오전략을 보다 명확히 제시할 예정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