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산업 육성 위한 정책지원 힘쓸 것”
원전·전기료 정상화·전력판매시장 자유화 必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전기요금 정상화와 전력판매시장 자유화 등 정책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박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지난 21일 열린 ‘에너지경제연구원 울산청사 이전 기념식’ 에서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에너지산업 육성에 대해 이와 같이 밝혔다.
박 원장은 부임 후 가장 집중하려는 분야는 석유가스 벨류체인 산업화 , 원전안전연구 , 에너지 신산업 육성이라며 특히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구조, 제도 개선등을 임기 내에 집중 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산업의 구조는 아직까지 화석에너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에너지경제산업의 특성상 산업의 육성에는 결국 기업의 참여가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개선을 통해 이러한 기업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에너지산업은 대체적으로 규제에 자유로울 수 없는 시장이며 기간산업의 특성상 완전 자유화는 힘들어 시장에 모든 것을 맡기기 보다는 정책이 먼제 목표를 제시한 후 그 뒤를 따라오게 하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실임을 밝혔다.
“시장은 완전 자유화 보다는 우선적인 정책개선으로 시장에 참여한 기업들이 적응할 시간을 가지게 하고, 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며 “판매시장의 개방 또한 원스텝적인 접근보다는 단계를 밟아 가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지역 네크워크 구축 인력 확충 힘쓸 것
이미 에너지 산업동력이 바닥난 우리나라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강조되고 있지만 가격경쟁력과 기술력을 갖추기 이전에는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버릴 수 없다며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원전은 여전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원전은 아직까지도 현실에너지로 그 역할을 부정하기가 힘들다”며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는 이해하고 있으므로 기술 부분에 대한 연구와 안전 규제등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정책 준비로 걱정을 덜어드리려 한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기료가 싸다는 점을 예로 들여 에너지 다소비 구조에 따른 국민들의 부담이 큰 것은 사실이나, 지금 상태로 판매시장 자유화는 힘들것이라며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요금 정상화는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단기과제와 정부 정책에는 좋은 평가를 받지만, 중장기 정책개발에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통한 전략 수립에 나설 것”이라 덧 붙였다.
박 원장은 지난 12월 울산 청사이전 이전 후 약 4개월간 원장이 정해지지 않아 연구원의 기능이 잠시 주춤했었던 것을 느낀다며 취임 이후 그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그간 연구원이 수도권에 의존되어있던 점을 들며 앞으로는 울산을 기점으로 지역 인력확보와 그리고 기존에 존재하던 인력을 활용에 힘을 더한다는 계획이다.
박 원장은 “울산을 중심으로 부산, 대구 등 지역 대학 간 연구진들의 네트워크 구축과 타 분야의 경제 연구진들의 에너지산업 참여 유도를 통해 인력 확충하는 등 다각적인 면에서 우수인력 확보를 통해 연구원의 경쟁력 향상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