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연 창립 47주년, 김남균 원장 ‘큰 기술’ 개발 강조
신근순 기자
2023-10-26
-
E공단, 6회 연속 보일러·압력용기 공인검사기관
엄태준 기자
2023-10-25
-
에기평, E 기술·시장 전략위원회 발족
유혜리 기자
2023-10-25
-
에너지연, CO₂ 저감 친환경 연료 ‘e-Fuel’ 워크숍
엄태준 기자
2023-10-24
-
에기평, 에너지 R&D 사업관리 컨설팅 제공
유혜리 기자
2023-10-24
-
전기연, 친환경 선박 충전 시스템 국제 표준화 주도
신근순 기자
2023-10-23
-
석유公, 530만 배럴 사우디 아람코 원유 유치
유혜리 기자
2023-10-23
-
석유公, 국내 9개 석유비축기지 등 현장점검
유혜리 기자
2023-10-20
-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바이오 항공유’ 원료 확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지속 가능한 항공유 시장 확대에 발맞춰 지분 투자를 통해 항공유 원료 확보에 나서고 있다.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16일 폐자원(W&R) 기반 원료 업체인 ‘대경오앤티’ 지분 투자를 위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KDB산업은행 PE실, 유진프라이빗에쿼티(PE)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 것으로, 3개사는 특수목적법인(SPC)을 공동 설립해 대경오앤티 지분 100%를 확보할 예정이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SPC 지분 40%를, KDB산업은행과 유진PE가 60%를 보유하는 구조다. 지분구조 외 세부사항은 계약상 공개하지 않았다. 대경오앤티는 1995년 설립돼 전국 13개 사업장에서 폐자원 기반 원료를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도축 부산물에서 나오는 동물성 지방과, 음식점, 식품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식용유(UCO:Used Cooking Oil)를 바이오 디젤, 바이오 항공유 등의 원료로 공급하는 국내 최대 업체다.최근 지속 가능 항공유(SAF) 시장이 확대되면서 동물성 지방과 UCO가 ‘바이오 항공유’의 핵심 원료로 주목 받고 있다. 폐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규제를 받고 있지 않고, 콩기름과 같은 식물성 원료보다 탄소감축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이번 투자가 바이오 항공유 원료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터리, 연료전지 등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육상운송수단과 달리 항공은 배터리 밀도의 한계, 안정성 등으로 향후에도 ‘액체 연료’ 사용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세계 각 국은 전체 항공유 소비과정 중 나오는 탄소를 줄이고자 바이오 연료, 합성원유 기반 연료 등의 대안을 찾고 있다.이에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지난 3월 중국 서남 지역 최대 UCO 공급업체인 ‘진샹(Jinshang)’에 투자했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진샹에 이은 대경오앤티 투자로 한국과 중국을 아우르는 바이오 항공유 원료 확보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서석원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사장은 “대경오앤티 투자에 그치지 않고, 국내외 항공업계에 SAF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문 트레이딩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국내외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근순 기자
2023-10-17
-
에기평, 24년 E기술개발사업 10월 18일 공청회
유혜리 기자
2023-10-13
-
재생E 전력거래 합작법인 ‘한화신한 테라와트아워’ 출범
유혜리 기자
2023-10-13
-
KOMIR, 몽골 희소금속센터 설립 현지 연수 개최
유혜리 기자
2023-10-12
-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1.9GW…전년比 5배↑
정부가 풍력발전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물량을 크게 늘리고 가격경쟁을 촉진한다.산업부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제도 ‘2023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및 ‘2023년 하반기 태양광 설비 경쟁입찰’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가 12일 공고했다고 밝혔다.고정가격계약 입찰 제도는 국내 태양광·풍력 관련 산업 육성과 의무공급량의 안정적 의무이행 및 태양광·풍력발전사업자의 투자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한 사업이다. 입찰을 통해 사업자(발전소)를 선정하고 공급의무자와 공급인증서 거래 계약을 20년간 체결하게 된다.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실시되는 풍력발전 설비 경쟁입찰 물량은 육상풍력 설비 400메가와트(MW) 이내, 해상풍력 설비 1,500MW 이내로 전년(374MW) 대비 5배 확대돼 풍력 보급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이같은 물량 확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정부의 풍력 설비 보급목표(2030년 19.3GW) 등을 고려하고 풍력 발전원간 공정한 경쟁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가격경쟁을 확대하기 위해 입찰가 1원당 점수 격차를 확대하고, 상한가격도 비공개 함으로써 사업자가 상한가 근처로 입찰하는 행위를 막을 예정이다. 또한 산업경제효과 지표의 배점 간 격차를 조정해 변별력을 확대하고, 계통 관련 평가지표 추가·조정으로 계통수용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토록 할 계획이다.하반기 태양광 경쟁입찰의 경우, 정부 보급목표 등을 고려해 선정용량은 1GW 이내로 하며 상한가격은 2023년 상반기 입찰과 동일한 15만3,494원/MWh(육지, SMP+1REC 가격 기준)으로 책정됐다.산업부는 앞으로 경쟁입찰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시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발전단가 하락 유도로 비용효율적 재생에너지 보급과, 장기 고정가격 계약으로 사업자의 예측가능성과 가격안정성을 높여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세한 입찰사항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사업공고를 참고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23-10-12
-
태백시, 청정메탄올 생산거점 도시 탈바꿈
유혜리 기자
2023-10-12
-
전기연, ‘2023 대한민국 SNS 대상’ 최우수기관
신근순 기자
2023-10-12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