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성, 국내 최대 태양광 연계 ESS 준공
효성이 국내 최대규모의 태양광발전 연계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준공했다. 시스템 설계부터 공급까지 토털솔루션을 제공하며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본격 나선다는 계획이다.
효성이 한국남동발전 영흥본부 태양광발전단지에 국내 최대 용량의 태양광발전 연계 ESS 설치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나섰다고 27일 밝혔다.
태양광발전 연계 ESS는 낮 시간에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두었다가 저녁 시간대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신재생에너지로 발생하는 전력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로, 효성은 ESS 시스템 설계부터 공급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설치된 ESS는 효성의 노하우가 집약된 PMS(전력제어시스템), 7MW급 PCS(전력변환장치), 삼성SDI의 18MWh급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됐다.
효성은 고객의 전기사용 패턴을 분석한 뒤 PCS의 용량과 배터리의 용량을 용도에 맞게 설계하고 운영한다.
변전설비 부문 운영 정보를 학습 및 체계화시킨 빅데이터를 활용해 태양광발전의 발전 상태와 특성을 고려해 전체 시스템의 충방전량 및 시간을 조절한다. 이에 맞춰 PCS가 태양광 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이후 영흥도 내에 공급할 수 있게 했다.
최근 정부는 ‘신재생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20%를 달성하자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국남동발전은 풍력, 소수력, 태양광 등으로 구성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종합단지 구축 사업 시행으로 정부정책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2월에도 국내 최대 풍력발전(46MW)에 최초로 연계한 ESS(8MW-28MWh) 설치를 완료한 바 있다.
이정임 한국남동발전 신재생미래사업단 차장은 “효성이 구축한 국내 최대 태양광연계 ESS로 신재생에너지 3020 정책 달성 및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종합단지 구현에 탄력을 받게 됐다”며 “추후 태양광연계 ESS 기술 표준화 및 민간으로의 사업 확대, 관련 산업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문섭철 전력PU장(부사장)은 “효성은 전력계통에 대한 기술력과 신재생에너지 연계 노하우에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등 ICT 기술을 융합한 토털 에너지 솔루션 공급업체로서 ESS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효성은 2009년 국책과제로 처음 ESS사업에 뛰어들어 2012년 구리농수산물센터에 250kW ESS 공급을 시작으로 2013년 제주 조천에 4MW/8MWh, 2014년 홍콩전력청에 400kW, 아프리카 모잠비크에 900kW, 2016년 제주도 가파도에 총 2MW/3MWh, 강원도 평창풍력에 6MW/18MWh ESS를 공급하고 있다.
올해는 태양광 연계 ESS를 중심으로 피크저감용 ESS 수주도 늘려가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높은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고봉길 기자
2017-09-27
-
에경원, 오만과 에너지 협력 증진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박주헌)이 오만과의 에너지 협력 확대를 위한 우호의 자리를 마련했다.
에경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김재홍) 및 오만 The Research Council(소장 H.H. Sayyid Shihab Bin Tariq Al-Said)은 26일 오만 무스카트에서 ‘에너지 인프라 부문 한-오만 협력 확대 방안’을 주제로 ‘한-오만 에너지전문가 공동워크숍’을 개최했다.
양 국 에너지부문 협력 확대에 기여하고자 추진된 이번 공동워크숍은 이재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오만 에너지협력: 기회와 도전’, ‘석유·가스부문에서의 한-오만 에너지협력 방안’, ‘신 기후체제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의 주제에 대해 한-오만 양 국 에너지 전문가들의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한국 측 발표자로 이재훈 총장, 홍권표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부회장, 에너지경제연구원 신상윤 박사가 참여했으며, 오만 측에서는 The Research Council, Authority for Electricity Regulation, Sultan Qaboos University의 전문가들이 발표와 토론에 참여했다.
워크숍을 통해 참석자들은 한국과 오만 양국의 에너지 정책과 석유·가스 산업 및 재생에너지 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에너지 인프라 부문을 중심으로 향후 협력을 증진시켜 나갈 수 있는 분야와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했다.
배종인 기자
2017-09-27
-
올해 에너지바우처사업 11월부터 앞당겨 지원
배종인 기자
2017-09-27
-
새만금지구 천연가스 공급 개통
배종인 기자
2017-09-27
-
현대차그룹, 에너지 절감 상생협력 박차
배종인 기자
2017-09-27
-
광기술원, ‘제로에너지빌딩’ 워크숍 개최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정책, 이슈, 시장 전망등에 대한 정보를 한자리에서 망라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광기술원(원장 김영선)은 국내외 제로에너지빌딩 분야 전문가 워크숍을 오는 28일 코엑스 3층 300호 회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광기술원은 에너지 자립율 향상을 위한 통합제어 플랫폼 기술 개발, 국제표준화를 통한 상용 촉진 및 해외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산·학·연 혁신주체와 긴밀한 협력을 추진해 오고 있다.
워크솝은 10시부터 시작되는 1부행사와 1시부터 시작되는 2부 행사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1부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의 동향과 미래에 대하여 발표를 한다.
△문승일 서울대학교 교수는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의 미래’ △이승언 건설기술연구원 박사는 ‘제로에너지빌딩 국내외 정책 동향’ △김의경 에너지공단 실장은 ‘제로에너지빌딩 융합얼라이언스포럼과 인증의 성과 및 계획’이라는 주제로 제로에너지빌딩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2부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의 조성, 그에 따른 적용기술과 사례에 대하여 발표를 한다.
△박현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CP는 ‘스마트홈과 IoT’ △남택주 국가기술표준원 연구관은 ‘제로에너지빌딩 국내외 표준화 동향 및 계획’△서천석 호남대학교 교수는 ‘스마트 에너지자립산단 조성계획’△이응신 명지대학교 교수는 ‘제로에너지주택 적용기술과 구축 사례’를 강연하고 마지막으로는 박세현 중앙대학교 교수를 중심으로 패널 토론도 진행한다.
한국광기술원 김영선 원장은 “제로에너지빌딩은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을 수 있는 해법이다”며, “제로에너지빌딩 신사업 창출을 통해 우리나라가 에너지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워크숍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건물에너지 자립률 20%이상 향상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기반 액티브 건축설비의 통합 제어 표준 플랫폼 기술 개발’과 ‘제로에너지빌딩 요소기술 패키지(패시브&액티브) 융복합화 및 실증 연구’ 과제의 협력을 통해 마련됐다.
엄태준 기자
2017-09-25
-
UNIST, 원전 해체 연구센터 워크숍 개최
원전해체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해체 산업에 요구되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UNIST(총장 정무영)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연구센터(이하 원전 해체 연구센터)는 지난 22일 대학본부 4층 경동홀에서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이근우 박사와 최왕규 박사, 단국대 이병식 교수, 한국전력기술(주) 정재훈 원전해체팀장이 참석했다.
지난 6월 19일 고리 1호기가 퇴역해 해체를 앞두고 있고, 2030년까지 우리나라 운영 원전 24개 중 절반이 설계수명을 만료한다. 이런 가운데 원전 해체 연구센터는 울산광역시와 울주군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원전의 안전한 해체를 위한 핵심요소 기술을 개발 중이다.
센터장을 맡은 김희령 교수(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는 “울산은 원전해체 산학연 인프라가 잘 조성돼있는 지역”이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 아래 ‘동남권 원전해체기술연구소’와 같은 독립적인 연구 기관이 설립된다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체선진기술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해체는 원자력을 포함한 물리, 화학, 기계, 전기전자 등 융·복합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워크숍에서도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원전해체 핵심기술 개발 현황 △산업 측면에서의 해체 기술개발 △국내 원전해체 사업육성 △원전해체 폐기물 제염기술의 적용 등을 심도 있게 다뤘다. 더불어 다양한 분야 기술로 이루어지는 제염해체 활동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방안도 제시했다.
한편, 연구센터는 지난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 사업의 목적으로 개소했다. 5월에는 아베 요이치 과학관과 한-일 원전해체 공동연구센터 설립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고, 이달 18일에는 울산시에서 개최한 한·일 전문가 초청 세미나에 참여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고봉길 기자
2017-09-25
-
에기연 울산 분원 첫 삽
울산을 ‘차세대 전지산업의 메카’로 이끌 핵심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 울산분원이 본격 건립된다.
에기연은 22일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에서 울산분원인 ‘울산 차세대전지 종합지원센터’ 기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건립되는 울산분원은 국비 298억원, 시비 179억원 등 총 487억원을 투입해 남구 테크노일반산업단지 내 3만2,896m2 부지에 연면적 1만3,165m2 규모로 2019년 5월 준공될 예정이다.
이차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등 전지산업 분야 연구기능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전지 종합지원센터’로 출범하게 될 울산 분원은 100명 이상의 전문 연구인력이 상주할 수 있는 규모로 건립돼 광주, 제주, 부안 등 에기연의 기존 지역 분원에 비해 최대 규모이며, 울산에 건립되는 정부 출연연구기관 분원으로서도 최대 규모다.
에기연은 차세대전지 분야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에기연 소유의 원천기술을 울산 소재 에너지관련 기업에 이전함으로써 에너지산업 육성과 인력 양성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향후 센터의 기능을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울산 분원 건립으로 울산지역 전지산업 분야 연구개발 역량이 대폭 강화되어 삼성 SDI를 중심으로 한 전지 생산과 동서발전 및 에너지공단의 ESS 보급 확산 등으로 이어지는 전지산업 클러스터의 가치사슬이 강화될 전망이다.
울산시는 이 날 기공식을 갖는 센터가 차세대 전지분야 연구개발의 중심축으로서, 미래 먹거리산업인 ‘에너지산업 육성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기연 곽병성 원장은 “울산 분원이 차세대전지 분야의 연구개발 강화를 통해 에너지 산업을 울산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데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엄태준 기자
2017-09-22
-
에기평, 수소차 확산 협력 논의
강지혜 기자
2017-09-20
-
포스코에너지, 스마트발전소·신재생E 기술 선
신근순 기자
2017-09-20
-
삼척시민 1,500명 상경, “화력발전소는 생존 문제”
신근순 기자
2017-09-20
-
친환경 미래에너지 체험의 場 개막
배종인 기자
2017-09-19
-
신재생E 확대, 전력기금 활용·규제완화 必
신근순 기자
2017-09-15
-
KEPCO-지멘스, 에너지 시스템 디지털화 협력
지멘스와 전력연구원이 디지털 에너지 시스템 솔루션 공동개발에 나선다.
지멘스의 한국법인 지멘스㈜(대표이사·회장 김종갑)는 한국전력공사전력연구원 (KEPRI)과 독일 현지에서 국내 에너지 시스템에 적합한 디지털 솔루션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발전소 주 기기의 예측관리 시스템 △발전소 전반의 자산관리(인적자산· 설비자산·서비스 등) 시스템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디지털 솔루션 및 기술을 공동개발 하기로 했다.
탈원전·친환경 발전 정책으로 인해 액화천연가스(LNG) 복합 화력발전 및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국내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가스터빈의 에너지 효율화를 증대시키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을 방문한 조 케저 지멘스 그룹 회장은 15일 오전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과 만나 양사의 디지털화 기술협력과 관련해 지멘스 그룹과 한전 차원에서도 최대한 지원하기로 뜻을 함께 했다. 또한, 향후 기술협력 분야를 확대하여 양사간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엄태준 기자
2017-09-15
-
LS산전, 日 460억규모 태양광발전사업 수주
고봉길 기자
2017-09-14
- 많이 본 뉴스
-
-
1
’24년 LIB 양극재 수요, 전년比 24%↑
-
2
이엠엘, 300억 새만금 첨단금속 소재 공장 착공
-
3
철도공단, “학익역 사업 정상적 진행 실시설계 완료”
-
4
산업부, 4300GWh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
5
㈜위드피에스, 한화시스템 ‘L-SAM 주전원공급유닛’ 계약
-
6
PMI바이오텍, 굴껍질 재활용 칼슘 120억 계약
-
7
코스모화학, 1Q 영업익 1억…흑자전환
-
8
링크솔루션, 98억 주형 3D프린팅 공정개발 주관
-
9
신재생E, 국내 발전 비중 10% 첫 돌파
-
10
1~3월 非中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