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3-06-20 18:24:07
기사수정

▲ 국내 로봇 시장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핵심부품의 국산화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로봇기업들의 핵심부품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아, 국산화 추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천산업진흥재단에 따르면 로봇 완제품 중 핵심부품의 원가 비중은 46%이나 국산화율은 14.3%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수준 대비 80%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로봇 부품은 로봇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간 생산물 또는 최종 로봇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모든 중간 투입재를 말한다. 크게 구동부(actuator), 센서부(sensor), 제어부(controller) 등 세부문으로 구분하고 있다.

구동부는 세고최고인 일본 대비 76% 수준으로 기술격차가 2.7년이 난다. 대부분 스위스, 독일산 제품의 수입에 의존하며 일부 엑추에이터만 국산화돼 있다.

센서부는 세계 최고인 일본 대비 72% 수준으로 기술격차는 2.7년이다. 중국은 우리나라 대비 93%수준으로 거의 국내기술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 일본, 캐다다 제품이 주로 로봇에 적용되고 있다.

제어부는 세계 최고인 미국 대비 78% 수준으로 기술격차는 2년이지만, 시스템관련 SW기술은 100%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로봇 부품산업, 기술력 부재의 악순환

로봇 부품산업은 차세대 먹거리를 위한 국가의 핵심산업으로 인식되고 있고, 국산화 개발 없이는 대외 경쟁력 확보가 매우 힘들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문에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1위을 유지하면서 영업이익율을 37%정도 거둘수 있는 것은 핵심부품을 모두 국산화했기 때문이다.

로봇산업은 아이디어와 제품기술로 초기시장 진입이 용이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핵심 부품확보가 없으면 시장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어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로봇특성화의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특정 로봇시스템 적용을 위한 독립적 부분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성화 로봇 부품은 범용 부품에 비해 고신뢰성, 고기능성, 소형·경량·고출력 등 고사양성 및 저가격화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로봇부품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로봇 부품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아직까지 구축이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국내로봇부품의 대외 경쟁력 부족은 국산부품 적용 부진을 낳고, 로봇 시스템 및 완제품 기업들의 국내 로봇부품에 대한 신뢰성 감소를 야기한다. 이는 부품주문 시 국내 기업보다는 외산부품을 선호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업계관계자 및 로봇 전문가들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로봇부품 시범보급사업 등과 같은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부품에 대한 기술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정부가 수요기업과의 연결과 시장 창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149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