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주유소 보다 기름 값이 저렴한 ‘사회적 기업형 대안 주유소’가 등장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2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기름 값 인하 대책 마련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지경부와 관련 전문가들은 기존의 ‘정유사-대리점-주유소’ 단계의 석유제품 유통구조를 벗어나 새로운 개념의 대안 주유소를 도입해야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대안주유소는 공공주차장 등 국·공유지, 대단지 아파트 조성을 위한 공영개발택지 등을 활용해 초기투자비를 낮춘다.
운영은 공익단체와 공공기관, 대기업, 소상공인 공동출자 등 공익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라면 누구나 가능하다.
또 석유공사와 같은 대형 공기업이 국제시장에서 석유제품을 대량 구매해 프렌차이즈 형식으로 공급하고 사은품 제공 등을 금지시켜 최대한 원가를 절감한다.
정부는 대안 주유소 참여업체에 최소한의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보조금 지급 등 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강구하고, 실행방안을 마련해 장기적으로 전체 주유소의 10% 수준까지 대안 주유소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와 더불어 현재 특별시·광역시에만 허용돼 있는 대형마트 주유소 설립을 향후 인구 50만 이상 도시로 확대했다.
이 외에도 정부는 석유제품의 혼합판매 활성화, 석유수입을 위한 환경기준 완화, 자가폴 주유소에 공공수요 확보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