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열린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4`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올해 최고의 혁신 수소 기술 발굴하는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본선에 에너진, 지필로스, 에이피그린 등 10개 기업들이 선정됐다.
World Hydrogen Expo 조직위원회(공동위원장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강남훈 회장·한국수소연합 김재홍 회장)는 ‘World Hydrogen Expo 2025’(이하 WHE 2025)의 ‘H2 이노베이션 어워드(H2 Innovation Award)’ 본선 진출 기업을 13일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수소 산업 전 분야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해 산업 혁신을 가속화하고, 우수 기술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H2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미래 대표 산업으로 각광받는 수소 관련 기술을 선보이는 종합 기술 발표회 및 시상식으로, 발표·전시·네트워킹이 한 자리에서 이루어지는 기술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수소 분야 신기술 및 신제품을 보유한 대·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모두 참여하며, 행사는 WHE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공동 주관한다.
출품 분야는 △수소 생산 △수소 저장·운송 △수소 활용 3개 분야이며, 각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기술 기업을 선정해 시상한다.
이날 발표된 본선 진출 기업 10개사 중 수소 생산 부문에서는 4개 기업이 선정됐다. 에이피그린은 분산형 저전력 수소 생산 시스템을, 윈테크에너지는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기술 기반의 청정수소 및 카본 생산 기술을 통해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이와 함께 지필로스가 100kW 수전해 시스템으로, 에이이에스텍이 무수 액화 암모니아 전기분해 수소 추출 시스템으로 각각 본선에 이름을 올렸다.
수소 저장·운송 부문에서는 3개 기업이 진출했다. OPmobility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내장된 고압 압력용기를 선보였으며, 에너진은 고압 밸로우스 수소 압축기 기술력을 입증했다. 또한 슬레노는 수소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중요성을 강조하며 본선에 합류했다.
수소 활용 부문에서는 3개 기업이 선정됐다. 케이엠씨피는 EL-KUS 연료전지 추진 보트로 해양 모빌리티 분야의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비티이는 수소연료전지 발전기(GEN100)를, 빈센은 100kW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출품하며 수소 활용의 폭을 넓혔다. (분야별 가나다순)
조직위는 지난 9월부터 10월 말일까지 기업 공모를 진행하고, 예선 심사를 거쳐 최종 10개 본선 진출사를 선정했다. 주관기관, 투자사, 수소 및 자동차 업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혁신성·기술성·상품성·발전성을 중점 평가했다.
11월 19일에는 예선 통과 기업들이 결선 발표회를 진행하며, 이 중 대상 1개사·부문별 최우수상 3개사·우수상 3개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시상식은 WHE 2025 전시 개막일인 12월 4일(목), 킨텍스에서 진행된다.
수상 기업에는 산업계의 공적 인정 외에도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대상(1개사, 상금 1,000만 원 및 상패), 최우수상(부문별 1개사, 총 3개사, 상금 500만 원 및 상패), 우수상(부문별 2개사, 총 6개사, 상장 및 차기년도 부스비 200만 원 할인)과 함께 전시장 내외 홍보물 설치, 전시회 광고 지원 등의 특전이 제공된다.
지난 행사에서는 2021년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의 ‘연료전지 분리판용 정밀압연 및 성형 제조 기술’을 시작으로, 2022년 에너진의 ‘고압수소 압력용기’, 2023년 미코파워의 ‘고효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2024년 일진하이솔루스의 ‘Type4 수소 운송 튜브트레일러’가 각각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WHE 조직위 강남훈 위원장은 “H2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국내외 수소 기업들이 신기술을 선보이고 경쟁과 동시에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교류의 장이다. 이번 어워드를 통해 기술 혁신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수소 산업 전반의 혁신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WHE 2025는 국내 및 아태 지역 최대·최고 수준의 수소 산업 행사로, 12월 4일(목)부터 12월 7일까지 총 4일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최된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HE 2025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