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가 산업 실태조사 정확도와 정책 지원 효율화를 통한 탄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탄소소재·부품산업 특수분류체계 개선에 나섰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는 ‘탄소소재·부품산업 특수분류체계 개선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14일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탄소소재·부품 산업의 분류체계 미비로 인한 실태조사 한계를 개선하고 산업 특성을 반영한 통계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금까지 탄소소재·부품 산업은 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 B(광업)와 C(제조업)에 혼재돼 있었다. 또한 활성탄소,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주요 탄소소재의 경우 특정할 수 있는 분류항목이 없어 정확한 산업 통계 작성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나 활성탄소,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탄소소재의 경우 특정할 수 있는 표준산업분류가 없어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실태조사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2021년부터 탄소소재·부품산업의 정의와 분류체계 수립을 추진해 왔다. 2024년에는 통계청과의 협의를 통해 탄소섬유, 흑연, 활성탄소,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6대 탄소소재를 중심으로 한 산업군을 특수분류체계 개발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히 지난해 통계청으로부터 ‘탄소소재·부품산업 통계조사’ 공식 승인을 받으면서, 체계적이고 신뢰도 높은 통계자료 수집 기반이 마련됐다. 이에 따라 향후 통계 조사 대상 기업의 정확한 특정과 산업 맞춤형 분석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자문회의에서는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탄소소재·부품산업에 대한특수분류체계의 대·중·소분류 항목별 기준과 적용 품목을 검토했다. 또한 탄소소재·부품산업의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한 분류안 개선 방향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이번 회의는 산업 특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실질적 분류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의미 있는 소통의 장이 됐다”라며,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보다 정교한 체계를 완성하고, 향후 탄소소재·부품 기업의 수출입 대응, 산업단지 입주, 정책 지원 확대 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