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5-07-14 14:56:28
기사수정

▲ 국내 제조업의 매출 현황 및 전망 BSI 추이(출처: 산업연구원)


국내 2분기 제조업이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 업종의 호조로 매출 부진이 완화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KIET)은 국내 1,500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2·3분기 ‘제조업 경기조사’를 실시하고 ‘경기실사지수(BSI)’를 집계해 14일 발표했다.


항목별 응답 결과는 0~200의 범위에서 기준치가 100(전월대비 변화 없음)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대비 증가(개선) 의견이,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 의견이 각각 많음을 의미한다.


국내 제조업의 ’25년 2분기 현황은 시황(86) BSI가 4분기 만에 상승 전환하고, 매출(88) BSI도 전분기(77)보다 상당폭 반등했다.


주요 항목별로는 내수(87)와 수출(89)이 100을 여전히 하회하나, 전분기(내수 79, 수출 86)와 달리 4분기 만에 동반 상승했다. 설비투자(96)와 고용(97)은 전분기보다 약간 더 상승하고, 경상이익(84)과 자금사정(84) 역시 전분기와 달리 동반 상승 전환했다.


3분기 제조업 전망은 시황(93)과 매출(95) BSI가 100을 여전히 하회하는 가운데, 시황만이 전분기에 이어 추가 상승세를 보였다. 내수(94) 전망치는 전분기 수준에 그치고, 수출(94)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설비투자(97)와 고용(97)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전망이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2분기 매출 현황 BSI는 모든 유형에서 100을 여전히 하회하고 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산업유형별 기준에서 ICT부문과 신산업, 매출액규모별로는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상당폭 반등했다.


산업유형별로는 ICT부문(90)과 신산업(93)에서 두 자릿수 반등 전환하고, 기계부문(87)과 소재부문(87) 역시 동반 상승 전환했다. 매출액 규모별로는 대형업체(95)가 3분기 연속 동일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인 반면에, 중소업체(87)는 4분기 만에 상당폭 반등했다.


3분기 매출 전망 BSI는 신산업에서 100을 상회하고, 나머지 모든 유형에서는 전분기보다 100을 여전히 동반 하회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유형별로는 신산업(103)에서 3분기 만에 100을 상회하고, ICT부문(98)도 추가 상승한 가운데 매출액 규모별로는 대형업체(99)에서 100 밑으로 하락하고, 중소업체(94)는 전분기 수준에서 보합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2분기 매출 현황 BSI는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100을 여전히 하회하는 수준이나, 전분기 대비로 대부분 업종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특히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 등 업종에서 비교적 큰 폭 상승하면서 매출 부진 완화 가능성을 보였다.


3분기 매출 전망 BSI는 바이오·헬스,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의 업종에서 100을 상회하면서 매출 증가 기대감을 시사하고, 전분기 대비로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정유,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 업종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나머지 업종에서는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현안 설문의 경우 국내 제조업체들이 현재 경영활동에 가장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요인으로는 △내수 부진·재고 누증(53%) 응답이 여전히 많고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의 순서로 많이 언급됐다.


고용 판단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연초 채용 계획 변화 없음’과 ‘연말까지 신규 채용 없음’ 응답이 많은 가운데, 인건비 상승과 제조 현장 기피에 따른 어려움이 많으며, 새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내수 안정화 지원 △금융시장 안정화 지원 △물가 관리 강화 등을 많이 응답했다.


▲ 2025년 3분기 국내 제조업의 주요 업종별 매출 전망 BSI(출처: 산업연구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30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나노코리아 2025(260 픽셀)
프로토텍 2025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린데PLC
EOS 2025
IM3D 2025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