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이른 무더위로 냉방기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국내 전력수요가 역대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확보된 예비전력이 충분한 상황에서 전력 수급 유지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10일 국무총리주재 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7월 상순 평균기온은 28.2℃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전력수요는 지난 8일 18시 기준 95.7GW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전력수요는 지난해 8월20일 97.1GW이다.
전력당국은 이번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가 97.8GW까지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냉방기기 사용을 시작하면 지속하는 경향이 있고, 8월 초 기온이 7월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다. 기상청도 올해 8월과 9월 모두 평년보다 높은 기온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어 지난해 처럼 9월까지 늦더위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산업부는 발전기 정비일정 최적화 등으로 충분한 전력공급능력을 확보하고 있어 최대전력수요가 상한치인 97.8GW까지 높아지더라도 예비력은 8.8GW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한 폭우나 태풍 등으로 설비가 고장나거나, 역대급 폭염이 지속되어 수요가 더 높아질 가능성 등에 대비해 약 8.7GW의 비상자원도 별도로 준비했다.
이밖에 폭염에 전력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7월1일부터 연간 전체 에너지 바우처 지원액(최대 70만 1,300원)을 일괄 지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기요금 감면 한도를 확대(최대 월 2만원)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7~8월에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완화해 냉방사용에 따른 전기요금 부담을 전체적으로 줄이고 있다.
산업부 안덕근 장관은 “아직까지는 예비력이 충분해 예상보다 높은 기온에도 불구하고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서, “폭염, 태풍, 대규모 설비 고장 등 어떠한 위기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미리 준비한 위기대응 수단을 적시에 가동하여 국민 여러분의 전력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