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우리 자동차산업에 다양한 영향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역에 따라 대미 수출 구조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권남훈)은 24일 발표한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이 한국 자동차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 자동차산업의 높은 미국 의존도를 고려할 때 완성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는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북미 수출·생산 전략에 조정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고관세 부과로 미국 자동차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수출 전략 수립과 지역에서 생산하는 차종과 부품에 따라 관세정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어, 지역경제 대미 수출 구조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높은 미국 의존도로 미국의 자동차에 대한 25%의 높은 관세 부과는 우리 업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의 경우 높은 관세 회피를 위해 현지생산 확대로 수출물량을 대체하면서 대미 수출이 감소되며, 고관세로 인해 미국 시장 내 차량 가격이 인상돼 시장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출 물량 감소가 예상된다.
차량 수요가 줄어들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완성차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높아진 비용을 모두를 가격에 전가를 할 수 없어 수익성도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품산업은 관세 인상에 따른 가격 인상이라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완성차 수출 감소에 따른 부품 수요 감소, 완성차업체가 관세 전가를 위해 부품 단가 하락 압력을 높이는 등의 간접적 영향도 우려된다.
14개 모델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울산이 ’24년 가장 많은 물량을 수출했으며, 경기도는 2개 업체 3개 공장에서 8개 모델 38.4만대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남은 ’24년 1개 모델 20만 대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나 생산물량 대부분을 미국에 판매하고 있어 미국 고관세 영향에 따른 파급영향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울산의 경우 생산물량의 37.2%를 미국 시장에 판매하고 미국 수출물량도 많은 편이나, 내수판매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생산 차종도 많은 편으로 고관세의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여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는 최근 경차 EV의 유럽 수출 증가로 생산에서 차지하는 대미 수출 비중은 27.4%로 낮은 편이나, 미국 수출 전용 모델을 생산하고 있어 미국 고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관세로 인한 원가상승 압력이 본격화되는 하반기부터 완성차업체들은 차량 가격에 전가하면서 수요 감소가 예상되며 차량 가격 상승으로 인해 미국 자동차시장에서 구매 차량의 다운사이징(Downsizing) 현상이 나타나 세단형 승용차, 중소형 SUV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단형 승용차나 중소형 SUV는 우리 완성차업체의 대미 주력 수출 차종으로 미국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현지생산 물량은 적은 편으로 늘어나는 수요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소형차의 경우 경쟁업체들도 미국시장에서 현지 생산보다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우리 업체들에게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
보고서는 부품산업은 고관세의 직접적 영향과 함께 국내 생산 감소에 따른 수요 축소, 납품 단가 인하 압박 등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피해가 유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세제 지원 및 경영 안정화 등 단기적 지원과 기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장기적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산업이 전국적으로 입지해 있으나 지역에서 생산하는 차종과 부품에 따라 관세 정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어, 지역경제 대미 수출 구조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 방안 모색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