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산업진흥원(원장 강철호, 이하 진흥원)이 서비스로봇 분야의 실증사업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모델을 창출하고 국민의 일상 체감도를 제고할 전망이다.
진흥원은 ’25년도 서비스로봇 분야 실증지원 과제로 총 65개 과제를 선정하고, 국비 16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선정 과제는 △서비스로봇 실증사업(30개) △규제혁신 로봇 실증사업(계속 13개, 신규 12개) △대규모 융합 로봇 실증사업(계속 8개, 신규 2개) 등 3개 분야에 걸쳐 있다.
먼저 ‘서비스로봇 실증사업’은 공공, 민간, 해외 확산을 목표로 하는 로봇 실증을 지원하며, 올해부터는 신기술·신산업 분야와 공공확산·해외실증 등 새로운 확산 유형이 도입됐다. 총 30개 과제가 선정됐으며, 약 58억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물류, 푸드테크, 의료분야 등 산업·사회 전반에 걸친 로봇서비스 실증을 지원하고, 올해는 국방, 경찰 등 공공분야와 미국, 캐나다 등 해외까지 지원을 확대해 국민의 일상 체감도 제고와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두 번째로 ‘규제혁신 로봇 실증사업’은 규제로 인해 시장 진입이 어려운 로봇제품에 대해 맞춤형 실증과 해소방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단년도 사업으로 개편돼 기업이 직면한 규제 이슈에 따라 지원유형(발굴형, 제품검증형, 데이터확보형)을 선택할 수 있게 했으며, 총 25개 과제에 약 46억원의 국비가 배정된다.
△안전·환경 분야의 규제 사전 발굴 ‘규제발굴형’ △푸드·돌봄 분야의 기준 맞춤형 개조·개량‘제품검증형’ △의료·농업 분야의 로봇 실증 및 데이터 활용 ‘데이터확보형’ 지원을 통해 선정 기업의 규제 부담 완화 및 사업 실효성 제고가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융합 로봇 실증사업’은 공공시설, 병원, 산업단지 등 다양한 수요거점에 다종·다수 로봇을 연계해 실증하는 사업으로, 신규 2개, 계속 8개 등 10개 과제에 약 59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며, ‘사회문제해결형’과 ‘국민체감실증형’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올해 신규로 선정된 과제의 수요거점은 장애인 교육시설과 전력시설로, 대규모 실증을 통해 장애인 고용 등 사회적 현안의 해소와 안전사고 예방, 전력 공급 안정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진흥원 강철호 원장은 “이번 실증사업이 새로운 서비스모델 창출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