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자원개발 자회사 SK어스온이 인도네시아에서 유망 석유·가스 광구 2곳을 신규 확보하면서, ‘빅3’ 산유국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진출에 이어 인도네시아까지 사업영토를 확장하면서 이 지역 클러스터링 전략 지도를 완성했다.
SK어스온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주한 2024 제2차 원유·가스 자원개발 사업 경쟁입찰에서 자바섬 인근의 세르팡(Serpang)과 말루쿠 제도 인근의 비나이야(Binaiya) 등 2개 광구를 낙찰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또 지난 20~22일 인도네시아 ICE(Indonesia Convention Exhibition)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산업 전시회 ‘IPA 컨벡스(IPA Convex) 2025’에서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바흘릴 라하달리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관리청(SKK Migas)과 이들 2개 광구에 대한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광권을 공식 확보했다.
이번에 확보한 두 광구는 각각 약 8,500㎢ 규모로 서울시 면적의 약 14배에 달하며, 높은 자원 잠재력으로 평가된다. 특히 세르팡 광구는 자바섬 북동부 해역에 위치한 해상 탐사광구로, 인접 광구들에서 이미 활발한 석유 및 가스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어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가장 유망한 탐사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일부 외신은 세르팡 광구의 미발견원시부존량이 원유 약 12억 배럴, 천연가스 약 6조 3,000억 입방피트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광구에는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나스가 51%의 지분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일본 INPEX가 35%, SK어스온이 14%를 보유하고 있다.
비나이야 광구는 인도네시아 동부 말루쿠 제도 인근 해상에 위치해 있으며, 최근 신규 탐사 활동이 집중되고 있는 동인도네시아 지역의 핵심 광구 중 하나다. 외신에 따르면 비나이야 광구 역시 미발견원시부존량이 원유 약 67억 배럴, 천연가스 약 15조 입방피트로 추정된다. 이 광구의 지분은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 페르타미나가 56%, 페트로나스가 22%, SK어스온이 22%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SK어스온은 향후 3년간 두 광구에서 지질 분석 및 탄성파 탐사 등 본격적인 초기 탐사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은 SK어스온이 추진해 온 동남아시아 자원개발 클러스터링 전략의 완성이라는 점에서 전략적 의미가 크다. SK어스온은 앞서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해상의 SK427 광구와 케타푸 광구, 베트남의 15-2/17 광구 및 15-1/05 광구 등에서 사업권을 확보하며 자원개발 기반을 확장해왔다.
특히 베트남 광구에서는 최근 연이어 원유 발견에 성공했으며, 이들 광구는 베트남 전체 석유·가스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쿨롱 분지에 위치해 높은 상업성이 기대된다.
SK이노베이션은 동남아시아에서의 자원개발을 ‘기회의 확대’로 보고, 중장기적으로 업스트림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SK어스온 외에도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E&S는 인도네시아 석유·가스 관리청과 함께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 개발 및 국경 간 탄소 저장 협력 가능성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K어스온 관계자는 “이번 인도네시아 광구 진출을 통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를 아우르는 동남아시아 자원개발 전략 지도를 완성했다”며 “페루와 베트남에서의 성공적인 자원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또한 상업성 높은 개발 거점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