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가 데이터 정렬 작업 없이도 다른 유형의 모델 학습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셋 구축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전망이다.
UNIST는 인공지능대학원 윤성환 교수팀이 데이터 정렬과 매칭 없이 하나의 데이터 유형만으로 다른 유형의 모델 학습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AI) 멀티모달 학습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멀티모달 학습은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와 같이 서로 다른 데이터 모달리티를 결합해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학습법이다. 멀티 모달 학습을 위해서는 다양한 모달리티 데이터를 정렬하고, 이에 대해 쌍을 이루는 라벨링 과정이 필요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또 명확히 짝지어진 데이터가 부족하면 성능이 저하되기까지 했다.
연구팀이 제안한 학습법은 짝지어지지 않은 데이터로도 멀티 모달 학습이 가능하다. 음성과 인간 표정을 함께 분석해 감정을 이해하는 AI 비서, CT 영상과 진료 기록을 의사처럼 결합해 진단하는 의료AI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연구팀은 텍스트 모델이 이미지 모델 학습을 돕거나 오디오 모델이 언어 모델 성능을 높이는 등의 실험을 진행했고,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를 기록하며 모달리티 간 학습 촉진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오디오와 이미지처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조합에서도 AI의 성능 향상이 나타났다.
제1저자인 이재준 연구원은 “서로 관련 없어 보이는 오디오와 이미지 조합에서도 성능이 향상된 것은 기존 멀티모달 학습 방식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흥미로운 결과”라고 말했다.
윤성환 교수는 “정렬된 데이터셋 확보가 어려운 의료, 자율주행, 스마트 AI 비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