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전5사와 석탄발전 소재지역의 지자체가 함께 향후 폐지되는 석탄발전 인프라를 활용한 친환경 대체사업을 지원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석탄회관에서 최남호 제2차관 주재로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 제 3차 회의’를 개최하고, 석탄발전 인프라를 활용한 대체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해 12월10일 출범한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는 그간 두 차례 논의를 통해 석탄발전 폐지로 인한 고용, 지역경제 등 영향을 최소화하는 석탄발전의 질서있는 전환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 날 회의에서 발전5사는 주로 석탄발전의 대규모 부지와 전력설비를 활용해 수소 생산시설 및 발전시설로 전환하고, 석탄 인프라 시설을 수소·암모니아 인수·저장시설로 전환하는 구상을 발표했으며, 이외에도 석탄발전 송전설비를 활용한 해상풍력 배후단지 조성, BESS, 태양광 등 다양한 대체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다만 아직은 사업 구상단계로 지자체 및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기로 했으며 대체사업에는 많은 인·허가 등 절차가 수반되는 바, 원할한 사업추진을 위해 지자체, 정부, 발전사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최남호 차관은 “발전사의 친환경 대체 발전사업 등을 통해 새로운 지역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석탄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가져왔던 발전5사도 좌초자산을 최소화하면서 풍력, 수소 등 친환경 발전사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회에서 논의중인 석탄발전폐지지역지원법과 정부가 준비 중인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을 통해 발전사의 에너지 전환 계획이 안정적·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