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환경·화학 공정 등 촉매 전문기업 희성촉매(주)가 청정연료 제조에 필요한 촉매 개발 및 상용화를 통해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길 전망이다.
희성촉매(대표 한현식)는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사무소 회의실에서 ㈜바이오프랜즈(대표 조원준)와 ‘청정연료 제조용 촉매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탄소중립 실현과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해 DME(Dimethyl Ether) 제조, 합성가스(Syngas) 생산, 메탄올 합성 기술에 최적화된 촉매 기술의 공동 개발과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오프랜즈는 청정연료 제조용 촉매 개발 및 상용화에 필요한 DME 제조, 합성가스 제조, 메탄올 제조와 관련한 공정 기술을 제공하고 설비 운영을 담당한다. 희성촉매는 해당 공정에 적합한 고활성·고내구성 촉매를 설계·개발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DME는 대표적인 디젤 대체 청정연료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뛰어나 LPG-DME 혼합 연료, 산업용 연료, 수송용 연료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수소전문기업 바이오프랜즈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한 뒤 화학전환을 통해 DME와 메탄올 등 탄소포집형 청정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CCU(탄소포집·활용) 기술을 기반으로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배출한 CO₂를 포집해 메탄올로 합성하는 플랜트를 구축 중이다. 충북 보은에선 연간 1만5000톤 규모의 DME 생산플랜트도 운영하고 있다.
희성촉매는 희성그룹과 글로벌 화학업체 바스프의 합작사로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를 국내에서 가장 먼저 생산한 기업이다. 탄소중립 요구로 내연기관 자동차가 축소됨에 따라 친환경 촉매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시화공장에 신공장을 준공한 바 있다. 이곳에서는 △수소 생산 촉매(LNG·바이오가스 등 개질) △기후환경 촉매(온실가스 분해 촉매 등) △수송 및 발전용 연료전지 전극촉매 △화학제품 제조 및 공정용 촉매 등이 생산될 예정이다.
희성촉매는 향후 바이오프랜즈의 인도네시아 DME플랜트 건설 시 필요한 촉매도 공급할 계획이다.
한현식 희성촉매 대표는 “축적된 촉매 제조 기술과 반응 제어 노하우를 바탕으로, DME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촉매 솔루션 개발에 집중해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원준 바이오프랜즈 대표는 “청정연료 제조를 위한 촉매개발과 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