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중국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가 무려 11.5배 급증하며 R&D투자 중심 축이 미국과 중국으로 쏠리고 있다. 한국 기업의 R&D 투자는 2.2배 늘어나는 데 그쳐 한국 기업이 글로벌 첨단기술 패권경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첨단 R&D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상향 등 선제적이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5일 EU 공동연구센터가 지난 12월에 발표한 ‘2024년 R&D 투자 스코어보드’의 2000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기준 세계 R&D투자 상위 2000대 기업을 보면, 미국이 기업 수와 투자액 모두 1위를 유지했으나 2위를 기록한 중국의 성장세가 가장 눈에 띄었다.
2013년부터 10년간 20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기업 수는 405개 늘었고, 투자액은 11.5배 증가했다. 상위 10개국 중 10년간 기업수와 투자액이 계속 증가한 국가는 중국이 유일했다. 우리나라는 기업 수는 14개 감소했지만 순위는 8위를 유지하며 나름 선방한 모양새다.
부동의 1위인 미국과 급성장한 중국으로의 쏠림 현상도 눈에 띄었다. R&D투자 상위 2000대 기업에 포함된 미국(681개)과 중국(524개)의 기업 수는 1,205개로 전체의 60.3%를 차지했고, R&D투자액의 합은 7,477억 유로로 59.5%에 달했다.
해당 연구는 EU 산하의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er)에서 매년 발간하는 R&D 투자 스코어보드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2024년도 자료는 12월 18일자를 기준으로 발표됐으며, 2023년도의 회계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됐다.
지난 10년간 R&D투자 상위 20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미국은 기업 수, 투자액에서 1위를 계속 유지했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2013년 1,910억 유로로 전체의 36.1%였으나, 2023년에는 5,319억 유로로 42.3%를 차지해 비중이 10년 전에 비해 더 높아졌다.
중국은 2013년에는 기업 수 119개로 4위, 투자액 188억 유로로 8위였으나, 2023년에는 기업 수 524개, 투자액 2,158억 유로로 2위까지 올라섰다. 특히 투자액은 10년간 약 11.5배 증가하며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의 등재기업 수가 늘어나면서, 일본, 독일, 영국 등 주요국의 기업 수는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기업 수도 2013년 54개에서 2023년 40개로 줄었지만, 순위는 10년 연속 8위를 유지했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2013년 193억 유로로 7위였으나, 2023년에는 425억 달러로 5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을 나타내는 R&D 집중도도 미국과 중국의 증가세가 컸다. 미국은 2013년 5.1%에서 2023년 8.5%로 3.4%p 늘었으며, 중국도 1.4%에서 3.9%로 2.5%p가 늘어난 것으로 나왔다. 우리나라의 R&D 집중도는 2.4%에서 4.0%로 1.6%p 늘었으며, 2000대 기업 전체로 보면 3.3%에서 5.1%로 1.8%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순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미·중간 기술패권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기초기술 R&D 강화, 반도체 대기금, 배터리 보조금 등 대규모 투자자금 및 R&D 지원, 각종 세금감면 등 세제지원, AI 육성 위한 규제완화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며 “우리도 반도체 지원법 등과 같은 입법 지원을 신속하게 진행해 기업들을 옭매고 있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정부도 미래 기술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산업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술경쟁이 치열한 첨단산업 분야별로 R&D투자를 분석한 결과, 반도체 산업에서는 엔비디아가 2013년 9.6억 유로에서 2023년 79억 유로로 8.2배 늘어 가장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의 SK하이닉스가 6.7배, 미국의 AMD가 6.1배, 대만의 미디어텍이 5.1배 늘어나며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의 R&D 투자액은 199억 유로로 반도체 기업 중 1위였으며, R&D 투자액은 10년간 약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모두 AI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실제로 엔비디아, AMD는 고성능 AI칩, SK 하이닉스는 AI를 위한 HBM 반도체, 미디어텍은 스마트폰 등 온디바이스 AI칩의 선두주자이다.
IT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산업에서는 미국의 메타(페이스북)가 10년 전 대비 32.4배 증가한 332억 유로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중국 1위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가 15배, 이어 고객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국의 세일즈포스가 10.1배 증가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네이버는 10년전에 비해 R&D 투자액이 약 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전기차 선두주자인 미국 테슬라의 R&D투자가 10년전에 비해 2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세계 전기차 점유율 1위인 중국의 BYD가 15.8배 증가했고, 인도의 타타 자동차가 2.9배 늘어났다. 투자액 기준으로는 폭스바겐, 벤츠, GM 등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우리나라의 현대차는 10년간 R&D 투자가 2.7배 늘어났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에서 보듯이 산업별 선도기술을 둘러싼 기업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라며 “우리도 국회에 계류 중인 첨단 R&D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상향 및 일반 R&D에 대한 공제율 상향 등 세제지원을 통해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동시에 반도체특별법과 같은 선제적이고 과감한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R&D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제도적인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0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