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첨단 산업에 필요한 텅스텐, 몰리브덴 등 소재 수출통제에 나서면서 국내 비축물량으로 단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대체 수입선 발굴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5일 14시 대한상의에서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관련 기업과 협·단체, 소부장 공급망센터, 광해광업공단, 희소금속센터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공급망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중국 상무부가 지난 4일 발표한 텅스텐, 몰리브덴,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 5개 품목 수출통제에 따른 국내 수급 동향 및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열렸다.
중국은 텅스텐, 몰리브덴 등 5개 품목 관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에 주로 사용되는 합금 및 화합물인 25개 제품 및 관련 기술을 대상으로 수출을 통제한다. 중국 수출통제는 수출 금지가 아닌 수출허가 절차가 추가된 것으로 기존 통제 품목인 흑연, 갈륨과 같이 중국 상무부의 수출허가(법정시한 45일) 후 국내 수입이 가능하다.
산업부는 업계 영향 점검 결과, 국내 민간 재고 및 공공 비축물량, 국내 생산 등을 통해 대응 역량은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텅스텐은 민간 재고와 공공 비축(50일 이상)을 합쳐 약 6개월분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텅스텐 스크랩을 재활용해 일부 생산하고 있다. 몰리브덴도 공공 비축(40일 이상) 포함 3개월 이상의 물량을 보유하고 있어 단기 대응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24년 수입금액 기준 텅스텐은 대중 수입의존도가 85%, 몰리브덴은 90%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수급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체 수입처 발굴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은 국내 생산을 통해 대응이 가능해 영향이 제한적이다. 인듐은 ’23년 기준 우리나라가 중국에 이어 글로벌 생산량 2위 국가이며, 비스무트는 납 제련의 부산물로 국내 기업이 생산 중에 있어 수급 차질시 국내 대체 조달이 가능하다. 텔루륨도 국내 생산 중이며, 캐나다 등에서 대체 수입도 가능하다.
산업부는 향후 수출통제 세부 품목별로 영향을 추가 점검할 계획이며, 품목별 수급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또한, 관련 수입기업에 중국 수출허가 절차 등을 상세 안내하는 한편, 수출허가가 지연·반려되지 않도록 중국 정부와 다각도로 소통해 나갈 계획이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수출통제품목의 수급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품목별로 밀착 관리하는 한편, 자립화, 다변화, 자원 확보 등 공급망 안정화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중장기적 대응역량도 신속히 확충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60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