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관 협의체인 AI(인공지능) 산업정책위원회에서 제시한 정책제언을 기반으로 AI를 산업정책에 접목해 확산시킬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3차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금번 회의에서는 위원회의 AI 전문가들이 논의한 민간 제언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부는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제시했다.
산업부는 동 10대 과제가 제1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24.9)에서 발표한 ‘국가 AI 전략 정책방향’의 큰 틀 하에서 산업 AI 확산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우선순위 높은 정책이라고 설명하고, 앞으로 각 과제별 추진 계획을 구체화한 후 관계부처와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 AI를 위한 10대 과제·30대 세부과제’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제조지원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해 민·관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자율제조 등 기업의 생산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피지컬 AI 확산’을 통해 △AI 모델을 로봇·모빌리티 등 물리적 제품에 탑재·진화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및 실증·양산 인프라 조성하며 자율주행차, 자율선박 등 모빌리티 AI 실증 인프라·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산업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AI 데이터센터 전용산업단지 조성 △산업 AI 기금 조성 △산업 AI 바우처 도입 등 과제를 진행한다.
회의를 주재한 산업부 안덕근 장관은 “인구감소, 후발국의 기술 추격, 공급 과잉 등 우리 산업이 직면한 대·내외 상황을 극복해 새로운 비즈니스와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성공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산업 AI 최고의 민관 협의체인 AI산업정책위원회에서 제시한 정책제언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2기 산업AI위원회와 함께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해 나가겠다”고 하면서, “산업부에 신설한 산업인공지능혁신과를 통해 전문가·기업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AI 시대의 산업정책을 진화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AI산업정책위원회 출범을 함께 한 김기남 한국공학한림원 前회장은 “민간 제언은 AI산업정책위원회가 지난 8개월간 대한민국 산업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해 민간 차원에서 제안한 실효성 있는 과제”임을 설명하면서, “동 과제를 통해 추진될 정책이 향후 대한민국의 AI 강국 도약에 든든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