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경제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대기업 10곳 중 7곳은 내년 투자 계획이 없거나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500대 기업 투자계획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8%는 내년도 투자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56.6%)거나 투자계획이 없다(11.4%)고 응답했다고 12월 3일 밝혔다.
계획을 수립했다는 응답은 32%였다. ‘계획 미정’(56.6%) 기업 비중은 지난해 조사(49.7%) 때보다 6.9%p 늘었고 ‘계획 없음’(11.4%)도 지난해(5.3%) 대비 6.1%p 늘었다.
투자계획이 미정인 기업(56.6%)들은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 △조직개편·인사이동(37.7%) △대내외 리스크 영향 파악 우선(27.5%) △내년 국내외 경제전망 불투명(20.3%) 등을 꼽았다.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32%)을 대상으로 ‘25년 투자계획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59%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올해보다 ‘감소’할 것이란 응답(28.2%)이 ‘증가’ 응답(12.8%)을 상회했다. 지난해 같은 질문에서는 ‘증가’(28.8%) 응답이 ‘감소’(10.2%) 응답보다 많았다.
투자 규모를 줄일 계획이거나, 투자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25년 국내외 경제전망 부정적(33.3%) △국내 투자환경 악화(상법 등 지배구조 규제 강화 등, 20%) △내수시장 위축 전망(16%) 등을 지목했다.
한편 전체 응답기업의 77.8%는 내년 자사의 설비투자가 ‘기존 설비를 유지·개보수하는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적극적으로 설비를 늘리겠다’는 응답은 18.9%에 그쳤다.
한경협은 “투자 ‘양적’인 면에서 내년도 투자를 늘리지 않겠다는 기업이 대부분(87.2%)이고, ‘질적’ 측면에서도 소극적인 유지·보수를 택한 기업이 다수(77.8%)”라며 내년도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내년도 기업 투자에 큰 영향을 미칠 주요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 둔화(42.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고환율 및 물가상승 압력(23%)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공급망 교란 심화(13.7%)가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내년도 글로벌 경기가 올해보다 소폭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기업들은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따른 글로벌 교역 위축,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에 따른 공급불안 등 경제 하방 위험에 주목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국내 투자를 저해하는 가장 큰 애로 사항은 △설비·R&D투자에 대한 세금·보조금 등 지원 부족(37.4%)으로 조사됐으며, 그 외에도 기업들은 △ESG(상법 등 지배구조, 환경, 사회) 관련 규제(21.3%) △설비투자 신·증축 관련 규제(입지규제, 인허가 지연 등, 15%)이 주된 애로 요인이라고 밝혔다.
국내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21.0%)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16.9%) △지배구조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15.3%)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과거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기업 투자가 위기 극복의 열쇠가 되어왔는데, 최근 기업들은 투자 확대의 동력을 좀처럼 얻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투자계획을 조속히 수립할 수 있도록 경영 불확실성을 크게 가중시키는 상법 개정 논의를 지양하고, 금융·세제지원 등 과감한 인센티브로 적극적인 투자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