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4-11-20 09:55:13
기사수정


▲ 혁신활동 필요 인식 정도(출처: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혁신활동 현황조사(2024.11))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조사 결과 과반수가 필요성을 인식했으나, 실제 혁신활동 수행 비율은 절반이 안돼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한 중소기업 혁신 성장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중소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혁신활동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57.2%)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19,2%)보다 3배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이유는 주력제품 매출확대(33.3%) 생산성 향상(26.9%) 제품·상품 다양화(12.5%) 기존 거래처 수요 대응(9.2%) 신사업진출(7.9%) 기술 트렌드 변화 대응(7.7%) 등이었다.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한 이유는 자사 제품 및 서비스가 이미 시장에서 경쟁력 있다고 판단(35.7%) 자금 및 인력조달 어려움(21.4%) 시장의 경쟁압력이 낮음(11.7%) 혁신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의 리스크(9.1%) 등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절반 미만(47.6%)이 최근 3년 내 혁신활동을 수행했으며, 수행한 혁신 활동은 기존 상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상(36.5%) 새로운 상품의 개발(26.8%) 특허 및 지식재산권 출원(13.9%) R&D 활동에 대한 투자 증대(10%) 새로운 제조설비 및 기술의 도입(6.3%) 고객 맞춤형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 도입(4.7%) 혁신활동 수행 전담조직 구성(1.3%)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수행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기술개발부서 직원(36%)이었으며 대표자(CEO)(31%) 기술개발부서 임원(20.2%) 사업전략·기획담당 인원(8.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혁신활동을 수행하게 된 계기는 자사 상품의 경쟁력 약화(26.5%) 새로운 상품·서비스의 출현 증가(22.6%) 경쟁업체의 시장 점유율 확대(17.6%) 자사 상품 종류의 다양성 부족(15.5%) 소비자 니즈의 빠른 변화(7.9%) 특허 및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5%) 제조기술의 빠른 변화 속도(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혁신활동을 수행한 기업 10개사 中 8개사(82.7%)는 독자적으로 혁신활동을 수행했으며, 협력한 외부 기관은 타 중소기업(39.6%) 대학, 연구소(35.4%) 정부, 지자체(14.6%) 대기업(10.4%) 순이었다.


혁신활동 수행 경비 조달 방법은 자체자금이 7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지자체 지원·융자금(12.9%)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금(8.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을 수행한 기업 10개사 中 9개사(87.4%)는 목표를 달성했으며, 일부 달성(51.4%) 근접 달성(31%) 거의 달성하지 못함(11.8%) 초과 달성(5%) 전혀 달성하지 못함(0.8%) 순으로 나타났다.


혁신활동 목표 달성 측정 방법으로는 수익 변화(39.6%)가 가장 많았으며 시장 점유율 변화(27.8%) 신제품·서비스 출시 여부(19.9%) 경영 효율성 개선 여부(9.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달성한 성과를 기반으로 한 향후 계획은 상품·서비스 확대(56.2%) 추가 연구개발(21.2%) 해외시장 진출(16.8%) 투자 유치 및 자금 조달(2.9%)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2.9%)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수행 시 애로요인은 자금 조달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인력 확보(22.8%) 혁신정보 및 아이디어 획득(12.3%)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12.3%) 기술·인력의 보호(7.3%) 등의 순이었다.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 기반 혁신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은 공동 R&D 자금 지원(35.3%) 세금 혜택 및 인센티브 제공(19%) 공동 마케팅 및 시장 진출 지원(13.8%)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및 매칭(8.8%) 전문 컨설팅 및 자문 서비스 지원(8.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중소기업의 지속적 기업혁신을 위해 필요한 기업역량은 자금조달 능력(34.5%)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혁신의지(19.1%) 혁신활동 전담부서 등 유연한 조직체계 구축(13.5%) 시장 및 기술동향 모니터링 능력(12.1%) 직원의 동기 부여(8.5%) 등을 들었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은 정부 정책자금 확대(38%)이었으며 전문 인력 양성 및 채용 지원(19.8%) 금융기관 대출제한 완화(10.1%) 투자자금 세액공제 확대(10.1%) 시장 및 기술 동향 등 정보제공 확대(9.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과반수가 혁신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역동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결과”라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혁신활동 수행 비율은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정책자금 확대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966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