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중소기업이 경영지원 업무부터 AI를 도입하며 인력운용의 효율성을 경험하도록 지원하면서, 활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9월 25일부터 10월 23일까지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인공지능 활용의향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조사는 최근 한국경제가 짊어진 ‘중소기업의 생산성 저하와 인력 부족 문제’의 해법으로, AI 활용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현재 AI를 적용중인 중소기업은 5.3%에 그쳤고, 적용하지 않은 기업은 94.7%에 달했다. 향후 AI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은 전체의 16.3%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AI를 적용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낮은 필요성과 활용방법에 대한 인지부족 때문이었다. 80.7%가 ‘우리 사업에 AI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14.9%가 ‘회사 경영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른다’, 4.4%가 ‘AI 도입 및 유지비용이 부담 된다’고 응답했다.
AI기술 적용을 계획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먼저 ‘비전시스템으로 결함탐지·불량률 요인분석’(44.7%)를 가장 많이 응답했고, 다음으로 ‘새로운 시장·고객 개척, 마케팅·광고’(37.7%), ‘과거 판매데이터 분석 및 향후 판매예측’(31.3%) 순으로 응답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비전시스템으로 결함탐지·불량률 요인분석’을 서비스업에서는 ‘새로운 시장·고객 개척, 마케팅·광고에 AI 활용’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AI활용을 위한 주요 지원 사항으로는 ‘도입 시 금융 및 세제 혜택’(84%), ‘산업 및 기업 규모 맞춤형 성공사례 및 성과 홍보’(66.3%) 순으로 응답했다.
필요한 정보·인프라 지원에 대한 질문에는 ‘센서, 컴퓨팅 장비 등 컴퓨팅 인프라’(68.7%) ‘기업간 협업 네트워크 구축’(48%) 순으로 응답했다.
장애요인으로는 ‘기업이 필요한 맞춤형 응용서비스 부족’(6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투자가능 비용부족’(54%), ‘활용가능한 데이터 및 기반정보의 한계’(43%) 순으로 응답했다.
향후 3년 이내 계획하고 있는 적용단계를 묻는 질문에는 79%가 ‘교육 및 컨설팅’, 9.7%가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계획 준비’, 7.3%가 ‘모델링 및 설비·시스템 구축’, 4%가 ‘모델 훈련 및 현장적용’을 응답했다.
목표하는 AI기술 적용단계 도달을 위한 예산에 대한 응답으로는 ‘1천만원 이하’를 예상하는 기업이 66%로 가장 많았다. 예상되는 예산에 대해 자부담 가능한 비율은 ‘20%이하’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AI도입 후 운영·관리에 활용할 인력에 대해서는 ‘전문용역 아웃소싱’(45%), ‘기존 IT또는 기술인력 활용’(42.7%)을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매출액 규모가 10억원 미만인 기업에서는 ‘전문용역 아웃소싱’ 응답이 더 많았으며, 10억원 이상인 기업에서는 ‘기존 IT또는 기술인력’을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시대의 중요한 의제인 AI기술 마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AI 리터러시’를 높이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해야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또한 “중소기업이 경영지원 업무(CS·예산·마케팅 등)부터 AI를 도입하며 인력운용의 효율성을 경험하도록 지원하면서, 업종 내 우수사례와 활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빍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9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