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이 사업화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기술매칭 상담을 제공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IGAM은 10월31일 서울 스카이31 컨벤션 센터에서 ‘2024 KIGAM Tech-Biz 파트너링’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KIGAM Tech-Biz 파트너링’은 지질자원연에서 개발·보유한 우수기술 가운데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에 적합한 기술을 선정해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정보 공유와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진행하는 Lab-to-Market 기술매칭 상담의 장이다.
이번 행사는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와 기술사업화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시작으로 우수 연구기술 발표, 연구자-기업 간 1:1 기술상담 등을 진행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기술은 시장성 분석을 통해 선정된 KIGAM의 차세대 탐사 및 소재, 순환자원 등 사업화 유망기술 7개이다.
‘2024 KIGAM Tech-Biz 파트너링’은 기업에게 필요한 정보와 혜택을 공유하고 기업간 교류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니즈 파악 및 기술 홍보와 기술이전 및 사업화까지 이어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강웅 박사팀의 무인자동화 탐사로봇 기술인 ‘자율주행 지하 탐사로봇’을 선보인다. 실외 비평탄 지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하 레이다 탐사(Ground-Penetrating Radar, GPR) 기술로 줄어드는 탐사 인력 수급문제 해결과 탐사가 어려운 지형 및 기후에서 탐사 효율성을 높여 △지하환경조사 △안전진단 △국방 △고고학 △농업 △극한지 및 행성탐사 등, 다양한 GPR 응용분야에 맞춤형 자율주행 탐사로봇을 개발하고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기에 새로운 탐사 분야 개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회수연구센터 유광석 박사팀은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물질을 분리·선별하고 회수하는 ‘사용 후 리튬이온배터리 블랙파우더의 양극재와 음극재를 분리하는 부유선별 기술’을 소개한다. 이 기술은 부유선별기의 독자적인 설계로 양극재의 비말동반 현상을 억제하고, 부유선별 공정 설계를 통해 양극재와 음극재의 선별율과 순도를 높이는 기술로 이차전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 금속 자원 회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평구 원장은 “기후변화, 환경문제 등 인류의 미래가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계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히며, “이번 행사를 통해 연구원과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KIGAM 우수 기술의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냄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미래를 여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