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문기업 지필로스(대표 박가우)가 친환경에너지인 그린수소 생산 기술과 인프라 및 운영 솔루션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그린수소로 전환하는 사업을 주도, 에너지전환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지필로스는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수소산업 전시회 ‘H2MEET 2024’ 참가해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생산 및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제품들을 소개했다.
지필로스는 △그리드서 포트용 100kW급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시스템(20FT컨테이너형) △모듈 타입 알칼라인 수전해 △그리드 포밍용 150kW급 연료전지 △그리드 포밍·팔로잉용 전력변환시스템(100kW, 300kW) 등을 선보였다.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는 알칼라인(ALK),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로 나뉘는데, PEM은 ALK에 비해 전류밀도가 높아 컴팩트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전해액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물을 원료로 사용해 고순도의 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지필로스가 지난 6월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KGS 수소용품 인증(KGS AH-271)을 받은 100kW급 PEM 수전해시스템은 공장에서 제조한 상용급 100kW PEM 수전해시스템(22.5N㎥/h)이 많은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그동안 그린수소 실증을 위한 현장설치형이나 초소형(0.015N㎥/h) 제품만 인증을 획득했는데 공장에서 제조한 상용급 100kW PEM 수전해시스템(22.5N㎥/h)은 지필로스가 처음이다. 시간당 최대 2kg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지필로스의 ‘PEMEC Pured 100K’는 올해 청주 대청취수장, 제주 용수파력시험소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지필로스는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10kW 모듈 타입 100KW급 알칼라인 수전해는 수소생산 스택의 확장성과 연속운전이 가능하며 하루 43kg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는 수소차 8.5대를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이다.
또한 지필로스의 그린수소 생산기술을 활용과 연계한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도 관람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는 탄소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원인 수소로 고효율의 전기를 생산하는 무공해 수소발전기다. 탄소배출이 전혀 없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청정에너지원으로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소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 스택(Stack)과 고전압 배터리팩(29kWh), 독립형인버터, 스텍 냉각장치 등을 일체화 했으며, 최대 출력은 150KW, 1시간 운전 시 수소 약 113루베(N㎥), 10kg이 소비된다.
지필로스 김진 과장은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무공해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의 개발로 기존 디젤발전기를 대체하며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하고 도서지역 및 도심 건설현장 등에서 수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필로스는 국내 최초 제주 상명 풍력발전 단지 잉여전력을 활용한 그린 수소 생산 실증사업에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3.3MW급(제주 행원리)에 이어 국내 최대 규모인 12.5MW(제주 북촌리)급 그린수소 생산사업에 참여하고 있다.